“정부, 자치단체 전북 상용차 위기극복 지원해야”

민노총 전북본부, 김성주·안호영·신영대 3일 국회 정론관 기자회견

생산량 감소와 고용하락으로 위기에 처한 전북 중대형 상용차 산업을 정부와 자치단체가 나서서 지원해야 한다는 요구가 나왔다.

민주노총 전북본부는 더불어민주당 안호영·신영대·김성주 의원과 3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국 상용차생산량의 95% 이상을 담당하는 전라북도 제조업이 위기에 처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민주노총 전북본부 유기만 조직국장은 “현대자동차 전주공장과 군산 타타대우상용차를 비롯한 수백 개 협력업체는 물량이 감소했다”면서 “따라서 현대차 전주공장은 지난 2014년 이후 고용인원이 1500명, 타타대우도 지난 9월 인원 약 110명이 희망퇴직을 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현대중공업과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 후 제조업 고용상태가 매우 좋지 않다”고 부연했다.

타타대우 노동조합 차상운 지회장은 “3만대에 달하던 국내 중대형 상용차시장도 1만7000대로 줄었다”며 “수출입 물동량 감소와 경기 침체 때문인데 코로나 19사태가 더해지면서 위축된 수출시장은 각 국의 봉쇄조치로 회복이 안 되고 있다”고 말했다.

차 지회장은 “현대차 전주공장과 타타대우만의 문제가 아니라 상용차산업 전체의 문제”라며 “정부와 자치단체의 현실적이고 실효성 있는 정책과 지원을 요구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문재인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 가운데 상용차 부분에 대한 사업 내용이 신속히 추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면서 “전북도에서도 상용차산업 위기극복과 고용안정을 위해 노사정협의체를 구성할 것을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안 의원은 “전북 상용차 산업에 대한 위기의식을 충분히 공감한다”며 “정부가 K뉴딜과 관련해서 수소 전기차, 상용차 등 미래차를 양산하기 위해 공감하지만 아직 속도가 더디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런 문제를 두고 국가와 자치단체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현대차 전주공장과 타타대우는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중국과 친환경 시장을 선점한 유럽 업체들의 공세 속에 경제적인 타격을 입고 있다. 정부와 기업의 투자 미비와 시장 대응 전략 부재가 원인으로 꼽힌다. 지난 2014년 6만9000대에 달했던 현대차 전주공장 생산량은 지난해 4만대로 떨어졌고, 타타대우의 생산량은 8700여대(2016년~2017년)에서 3500여대(2019년~2010년)로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