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다시 KTX역사 신설 주장, 지역균형발전 저해하는 소모전”

최근 일각에서 서전주권 역 신설 주장 제기돼 익산 지역사회 반발
익산역 사수 비대위 “익산패싱 방안 말도 안 돼, 지역 대응 필요”
국토부에 전라선 고속화 건의한 전북도 “신설은 고려대상 아냐”

박종완 위원장

국토교통부 용역 결과 경제성이 낮아 무산됐던 KTX 전북 혁신역사 신설 주장이 또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더 이상의 소모전은 지역균형발전을 저해할 뿐이라는 비난의 목소리가 비등하다.

10일 박종완 익산 KTX역사 사수 비상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은 “이미 경제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된 혁신역 신설을 가지고 눈 가리고 아웅 식으로 다시 여론 형성을 하는 것은 전북 전체 지역 발전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서 “최근 일각에서 호남의 관문인 익산역을 패싱하는 방안이 또다시 제기되고 있는데, 이는 희망사항일 뿐 균형발전을 저해하는 소모전으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고 지적했다.

익산시·전북도 등에 따르면 최근 일각에서 서전주권에 역을 신설하는 방안, 논산에서 익산을 거치지 않고 바로 전주를 잇는 방안, 경부선 대전역에서 전라선을 연결(대전~금산~완주~전주)하는 방안 등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3가지 안 모두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역을 신설하는 방안은 이미 국토부가 실시한 호남고속철도 김제역(전북 혁신도시역) 신설 사전타당성조사 용역에서 경제적 타당성(B/C)이 0.37~0.39로 1 미만을 기록했다. 이는 투자한 비용만큼 이익을 내지 못한다는 의미다.

나머지 방안은 천문학적인 예산과 지역갈등 초래 가능성 등 문제점을 안고 있다.

제4차 국가철도망 계획과 관련해 국토교통부에 전라선 고속철도 등 6개 사업을 건의한 전라북도 역시 기존 전라선 철도를 개량해 운행 속도를 높이겠다는 방안에 변동이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지난해 11월 최초 건의 이후 비용이나 이용객 편의, 지역 갈등 등 여러 가지 요소를 종합적으로 검토해 올해 7월 수정안을 다시 국토부에 제출했고, 역 신설이나 노선 변경 등은 전혀 고려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박종완 위원장은 “익산시와 지역 정치권, 시민 모두 힘을 합쳐 호남의 관문인 익산역을 지켜내고, 전북광역전철망 구축 등 익산역을 중심으로 전북권 교통 편익을 증진시키는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성도 익산시 환경안전국장은 “지금은 현실성이 떨어지는 방안을 제기하는 것이 아니라 전북의 균형발전을 위해 제4차 국가철도망 계획에 전북도의 건의가 받아들여질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