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과학총연합회] 국가핵융합연구소 플라즈마 기술연구센터

군산에 있는 국가핵융합연구소 플라즈마기술연구센터, 플라즈마 기초기술연구와 원천기술 확보 통해 상용화 기술 개발 중

플라즈마기술연구센터 전경

군산에 있는 국가핵융합연구소 플라즈마기술연구센터는 플라즈마 기초기술연구와 원천기술 확보를 통해 플라즈마 상용화 기술 개발을 주요 임무로 하는 기관이다.

지난 2012년 새만금산업단지 입구에 자리 잡은 플라즈마기술연구센터는 현재 90여 명의 상주인력이 근무하고 있다

물질의 4번째 상태로 불리는 플라즈마는 핵융합에너지 개발에 필요한 초고온 플라즈마 연구 외에도 산업 전반에 걸쳐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응용기술들로 개발되고 있다. 플라즈마 응용기술은 반도체부터 신재료, 환경, 농식품 산업 분야까지 응용분야가 매우 넓다. 반도체 제조 공정 과정에서 플라즈마기술은 이미 핵심적인 기술로 사용되고 있다. 오염가스분해와 오폐수정화 같은 환경 기술, 신소재 개발 기술 등에 적용될 수 있고 최근에는 농식품 분야까지 적용하고 있다.

플라즈마 구성 물질 상태와 플라즈마 발생 매커니즘을 이해해 기술 활용의 결과를 예측할 수 있도록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플라즈마와 물질의 상호작용 연구, 물성 데이터베이스 구축, 플라즈마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플라즈마 특성 평가, 기술개발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 플라즈마 응용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환경 분야에서는 오수와 폐수의 정화 등에 플라즈마를 이용하고 있다. 고온의 플라즈마를 이용해 오염물질 배출과 환경호르몬 물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친환경 쓰레기 처리기술도 연구된다.

플라즈마 기술을 농식품 분야에 적용하는 연구도 활발하다. 플라즈마 농식품 융합기술은 농장에서 식탁(Farm-to-Table)에 이르는 농식품 산업 전반에 폭넓게 활용되며 농업의 질적 고부가가치화를 이끌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도내 지자체와 협력해 지역농가에 보급 가능한 플라즈마 농식품 기술 개발로 지역 경쟁력을 강화하고, 건강한 식탁을 원하는 국민들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같은 연구개발 활동을 바탕으로 최근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플라즈마 소재?부품 국가연구실로 지정을 받기도 했다.

또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플라즈마기술을 활용해 지속적인 중소기업 협력을 진행하고 있으며, 꾸준히 기술이전 실적을 내고 있다. 매해 3건 이상의 기술이전을 이어왔다.

특히 올해는 6건의 기술이전을 진행해 산·학·연 실질 협력 확대와 중소기업의 혁신기술 개발에도 많은 지원을 하고 있다.

플라즈마기술연구센터 관계자는 “본연의 연구개발 활동을 충실히 수행하고 산·학·연 주체들과 협력활동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국가 플라즈마 기술개발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지역의 핵심 기술공급 기관으로 지역산업의 도약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