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의회 행정감사 시작 ‘날카로운 송곳 질문’ 행정 전반 실태파악

정호윤 “전북TP 무분별한 용역 남발과 방만한 조직 확대”
박용근 “일상·원가 감사 삭감예산 많아 패널티 필요”
이정린 “홍수때 전북 재안안전본부 제대로 구실 못해”

(왼쪽부터) 정호윤·박용근·이정린 의원

전북도의회가 10일 전북도청과 전북교육청 집행부 사무의 전반에 대한 감시와 실태를 파악하는 행정사무감사에 돌입했다.

이날 정호윤(전주1) 의원은 전북테크노파크에 대한 감사에서 무분별한 용역 남발과 방만한 조직 확대 등의 개선을 촉구했다.

정 의원에 따르면 테크노파크는 직원 보수체계 개선을 위해 지난 9월에 외부에 용역을 발주했다. 이와는 별도로 테크노파크는 올해 초 조직 운영과 경영 관련 용역 2건을 9월에 맡긴 보수체계 개선 용역기관과 같은 기관에 이미 맡긴 상태였다. 올해만 기관 내부 경영과 운용 관련 용역 3건은 같은 용역기관에 모두 맡긴 셈이다.

테크노파크는 작년부터 올 9월까지 총 48건의 용역을 추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가운데 18건은 용역과제심의위원회를 거치지 않고 추진된 것으로 파악됐다.

박용근(장수군) 의원은 일상·원가 감사를 통해 삭감되는 예산이 많아 해당 부서에 패널티를 부여하는 등 계약업무 불성실 추진 행태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일상감사와 원가감사를 통해 총 178억이 삭감됐으며, 18년 54억, 19년 56억, 20년 68억으로 삭감액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일선 부서에서 계약 업무 추진 시 관련 검토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이정린 의원(남원1)은 지난 8월 홍수때 전북 재난안전대책본부가 제대로 된 구실을 하지 못한 것을 질타했다.

조례 제36조에 따르면 비상단계 시 도 대책본부를 운영하는 때에는 실무반원은 도 대책본부에서 근무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하지만 지난 8월 호우피해 발생시 비상 2단계가 발령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실무반원에 포함된 재난관리책임기관은 도 대책본부에서 전혀 근무를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8월 조례대로 비상 2단계가 발령된 시점에서 한국수자원공사가 실무반원으로 편성되어 도 대책본부에 근무를 했다면, 금번과 같은 댐 방류로 인한 홍수 피해를 최소화 했을 수 있다는 것이 이의원의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