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의회가 10일 전북도청과 전북교육청 집행부 사무의 전반에 대한 감시와 실태를 파악하는 행정사무감사에 돌입했다.
이날 정호윤(전주1) 의원은 전북테크노파크에 대한 감사에서 무분별한 용역 남발과 방만한 조직 확대 등의 개선을 촉구했다.
정 의원에 따르면 테크노파크는 직원 보수체계 개선을 위해 지난 9월에 외부에 용역을 발주했다. 이와는 별도로 테크노파크는 올해 초 조직 운영과 경영 관련 용역 2건을 9월에 맡긴 보수체계 개선 용역기관과 같은 기관에 이미 맡긴 상태였다. 올해만 기관 내부 경영과 운용 관련 용역 3건은 같은 용역기관에 모두 맡긴 셈이다.
테크노파크는 작년부터 올 9월까지 총 48건의 용역을 추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가운데 18건은 용역과제심의위원회를 거치지 않고 추진된 것으로 파악됐다.
박용근(장수군) 의원은 일상·원가 감사를 통해 삭감되는 예산이 많아 해당 부서에 패널티를 부여하는 등 계약업무 불성실 추진 행태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일상감사와 원가감사를 통해 총 178억이 삭감됐으며, 18년 54억, 19년 56억, 20년 68억으로 삭감액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일선 부서에서 계약 업무 추진 시 관련 검토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이정린 의원(남원1)은 지난 8월 홍수때 전북 재난안전대책본부가 제대로 된 구실을 하지 못한 것을 질타했다.
조례 제36조에 따르면 비상단계 시 도 대책본부를 운영하는 때에는 실무반원은 도 대책본부에서 근무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하지만 지난 8월 호우피해 발생시 비상 2단계가 발령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실무반원에 포함된 재난관리책임기관은 도 대책본부에서 전혀 근무를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8월 조례대로 비상 2단계가 발령된 시점에서 한국수자원공사가 실무반원으로 편성되어 도 대책본부에 근무를 했다면, 금번과 같은 댐 방류로 인한 홍수 피해를 최소화 했을 수 있다는 것이 이의원의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