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주영은 도의원 “전북형 농촌관광거점마을 사업 제역할 못해”

박용근 “장기근속자 부서이동 통해 인적쇄신해야”
홍성임 “전문관제도 의무전보 피하기 위해 악용 소지”
진형석 “자살률 증가 특성 분석해 대응책 세워야”

▲ 국주영은 도의원

전북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민선 6·7기 도지사 공약사업으로 추진되는 전북형 농촌관광거점마을 사업이 제역할 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또 일선 시군과 전북도 인사교류가 계속 줄고 있는 문제점과 도가 채용하는 전문직위 및 전문관 제도의 시급한 개선 등도 촉구됐다.

국주영은(전주9) 의원에 따르면 전북도는 지난 2015년부터 4년간 군산시와 임실군을 제외한 12개 시군에 총 370억을 투자해 ‘농촌관광거점마을’을 조성하고 지역 주도형 농촌관광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홍보해 왔다. 하지만 도내 1000개의 생생마을과 연계한 농촌체험관광 네트워킹 거점으로서의 역할은 전혀 없고 기존 마을사업과 동일한 사업으로 추진되고 있어 거점마을 명칭을 삭제하거나 제대로 컨설팅을 실시해 사업을 전면 수정해야 한다는 게 국주 의원의 설명이다.

박용근(장수) 의원은 “전북도정 부서내 4년이상의 장기근속자가 68명이나 되는데 특별한 사유가 없다면 부서이동을 통해서 인적쇄신을 해야한다”며 “한 부서에서 4년 이상 근무자는 68명, 15년 이상자도 17명에 달하며, 2018년 이후 시군과 전북도 인사교류 역시 계속 줄어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홍성임(비례) 의원은 “전문직위 및 전문관 제도는 전문지식이 요구되고 장기간 근무가 필요한 직위를 전문직위 및 전문관으로 지정하는 제도로, 도는 71개 분야의 전문직위를 지정해 46명의 전문관을 선발했다”며 “하지만 전문관제도는 장기근무자가 의무전보를 피하기 위해 전문관을 신청하는 등 악용사례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공평한 인사원칙에 어긋나는 행태로 인식될 수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진형석(비례) 의원은 “전북 자살률은 2015년 26.6%(495명)에서 19년 30.2%(548명)로 지속적 증가 추세로 연령별, 성별, 지역별 분포와 특성을 정확하게 분석해서 대응책을 세우고 사업예산을 사용해야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며 “2021년 설립·운영될 사회서비스원과 관련 표준운영모델과 모범적인 운영 사례를 만들고, 타 시도의 장단점을 정확히 파악·분석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