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일선 소방서가 매연이나 유해가스를 줄일 시설조차 설치하지 않은 점과 유기동물 보호센터의 열악한 환경 등의 문제점으로 거론됐다.
성경찬(고창1) 전북도의회 의원은 16일 열린 행정사무 미진감사에서 도내 소방청사 차고 중 배연시설이 설치된 곳이 단 한 곳도 없다며 조속한 조치를 촉구했다.
성 의원은 “2019년 1월부터 소방청사 부지 및 건축기준에 관한 규정에 따라 소방청사 차고는 매연 및 유해가스를 여과·배출할 수 있는 정화 장치를 설치해야 한다”며 “그러나 전북의 경우 설치율이 0%이고, 규정이 신설된 이후 건립된 안전센터 2곳 역시 관련 시설을 설치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박용근(장수) 의원은 “전북소방본부는 격무·기피부서를 지정해 인사평정 시 가점을 부여하고 있는데, 격무·기피부서를 소방행정과 등 본부부서로 지정하는 것이 적절한지는 의문”이라며 “승진이 1점 이하의 미세한 점수로 결정되는 점을 고려하면 본부가 승진을 독식하게 되는 구조로 2019년 하반기 소방령 이상 승진자 12명 중 절반이 넘는 7명이 소방본부에서 근무했거나, 근무 중”이라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날 환경복지위원회도 지난 13일 집행부의 답변 및 자료준비 미흡 등으로 중단됐던 새만금해양수산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를 재실시했다.
진형석(비례) 의원은 낚시 구명뗏목 사업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현재 8억원이 넘는 예산을 편성해 관련 사업을 진행중인데, 현장 검증 결과 사고 시 과연 뗏목을 신속히 펼쳐서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을까란 의문이 제기된다고 지적했다.
김만기(고창2) 의원은 전국적으로 어업인이 조업중 발생한 쓰레기를 항구에 입항할 때 손쉽게 집하할 수 있게 함으로써 폐어구 등의 해양 불법 투기를 방지하기 위해 선상집하장을 설치 운영 중인데 전북지역의 경우 전국대비 그 수가 턱없이 부족하다며 다각적인 노력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