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과 경북지역 자치단체장들이 엊그제‘전주-김천 철도, 전주-대구 고속도로’ 건설 필요성을 담은 공동건의문을 발표하고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을 촉구했다. 단체장들은 “우리나라의 철도와 고속도로는 대부분 남·북 방향으로 건설된 반면 동·서 교통망은 매우 취약하다”며“이는 호남과 영남 간 교류가 활성화를 저해하고 못하고 지역화합에도 장애가 됐다”고 밝혔다. 경제적 효과와 영호남 화합을 위해 동서 교통망 구축의 당위성을 역설한 것이다.
두 SOC 사업의 필요성은 본란을 통해 이미 여러 차례 지적한 바 있다. 그러나 20년 전부터 건의해온 전주-김천 동서횡단 철도는 5년 전 제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2016~2025년)을 수립할 때‘추가 검토대상사업’으로 분류됐을 뿐이다. 장래여건 변화 등에 따라 추진을 검토하겠다는 수준에 머물렀다.
전주-대구 고속도로 역시 정부가 미적거리고 있다. 새만금~포항간 동서 3축 고속도로 연장선에 있는 전주-대구 고속도로 중 새만금~전주 구간은 2018년 착공에 들어갔으며, 포항~대구 구간은 2004년 개통됐다. 현재 미개통 구간인 전주~무주(42㎞), 대구~무주(86.1㎞) 구간 연결을 지속적으로 건의하고 있지만 경제성을 이유로 사업 추진이 지지부진한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전북·경북의 도지사와 노선 경유지의 시장·군수들이 힘을 합쳐 목소리를 낸 것은 그만큼 해당 사업의 필요성과 절박함을 드러낸 것이다. 전북도와 경북도는 양 지역을 잇는 철도·도로 교통망이 구축되면 물리적·시간적 거리 단축에 따른 물류비용 절감, 새만금~포항을 잇는 교통망 완비를 통해 환동해·환서해·내륙지역을 아우르는 신경제벨트 형성, 지역별 농산물·제조업 물동량 증가 등의 효과가 클 것으로 보고 있다.
전북과 경북의 공동 숙원사업으로 건의해온 동서 교통망 건설에 정부가 더 이상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 동서 교통망 구축을 현재의 교통수요나 경제적 타당성만을 잣대로 삼아서는 안 된다. 교통망 구축을 통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수 있다. 더욱이 꽉 막힌 동서간 교류에 큰 물꼬를 틀 수 있다는 점에서 눈에 보이는 경제적 효과 이상의 큰 가치를 지닌다. 지역균형발전과 동서 화합을 염원하는 지역의 목소리에 정부가 귀를 기울이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