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해경이 바다를 통해 운송되는 화학물질 오염사고에 대비한 실험과 훈련을 처음으로 진행한다.
군산해경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군산항을 통해 수출ㆍ입 되고 있는 화학물질은 연평균 21만7420㎘(킬로리터)로 100여척 선박이 운항하고 있다.
주요 품목으로는 페놀과 에탄올·아세톤 등이며 독성과 폭발성을 지니고 있어 유출사고 시 재앙과 같은 피해가 우려되는 물질들이다.
이에 따라 군산해경은 전국 해경서 중 최초로 유해 화학물질이 해상으로 유출되었을 경우 바닷물과 상호반응, 확산 전개, 화재와 소화 반응, 보유 HNS장비의 실효성 여부 등을 실험과 함께 검증해나갈 방침이다.
또, 이러한 실험을 통해 위험·유해물질 방제대응 매뉴얼을 수정 및 보완하고 화학물질 특성에 맞는 새로운 전략을 세울 계획이다.
이종남 군산해경 해양오염방제과장은 “위험·유해물질 사고는 유류사고 대비 발생 빈도는 낮지만 한번 사고가 발생하면 인명 피해와 환경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며 “기름은 종류가 달라도 성질이 비슷해서 즉각 오일펜스를 치고 대응하면 되지만, 위험·유해물질은 종류별로 성질이 모두 달라 꾸준한 실험을 통해 관련 자료를 보완하는 등 방제역량을 끌어올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9월 울산에서 석유화학제품 운반선 A호에서 원인 미상으로 폭발과 함께 화재가 발생해 유독연기와 휘발성 유해물질이 유출되고 인근에 있던 선박 2척이 모두 불에 탄 사고가 발행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