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 고용위기지역 지정기간 연장 절실하다

이달 말이면 끝나는 군산의 고용위기 지역 지정기간을 연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올해 코로나19 사태로 지역 고용상태와 경제지표가 더욱 악화된 상황에서 이달 말로 종료될 경우 지역경제 회복의 불씨가 살아나기도 전에 고사할 우려가 높기 때문이다. 군산시가 지난 달 정부지원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지정기간 연장’ 신청서를 고용노동부에 제출한데 이어 군산시 의회도 지난 주 본회의에서 ‘지정기간 연장촉구 건의문’을 만장일치로 채택, 관계기관에 전달했다.

정부는 지난 2018년 4월 경제여건이 타 지역에 비해 취약한 군산 등 전국 7개 지역을 고용위기 지역으로 지정했다. 2년여 동안 일자리 사업 등에 정부 지원이 이뤄지고, 기업들에도 혜택이 부여되면서 위기극복에 적잖은 도움을 주었다. 올해 4월 만료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여파로 연말 까지로 기간 종료가 미뤄진 상태다.

올해 군산지역은 코로나19 사태와 함께 기업들의 잇단 구조조정으로 제2의 고용위기를 맞았다. 지난 4월 OCI군산공장 452명, 이스타포 288명, 타타대우에서 110명의 구조조정이 실시돼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새로운 일자리 창출속도 보다 일자리 없어지는 속도가 빨라 양질의 일자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이에 따라 군산의 각종 경제지표도 최악의 상황을 면치 못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지역 고용률은 53%로 전국 평균 60.4%에도 크게 못미치며 전국 166개 시·군 가운데 163위로 최하위권에 머물고 있다. 지역경기도 붕괴 직전이다. 올해 2분기 점포 공실률이 전국 평균의 4배가 넘는 27.6%에 이르는등 지역경제는 거의 파탄지경에 이를 정도로 암울하다.

초토화되다 시피 한 지역경기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서는 여전히 정부 도움이 필요하다. 군산시의 신재생에너지 사업과 자동차 클러스터 구축 사업으로 가시적 고용창출을 기대하기 까지는 2년 이상이 소요된다. 고용위기 및 경기침체가 지속되고 있는데도 지원정책이 중단되면 그동안의 지원이 의미가 없어진다. 정책도 상황에 맞게 조정돼야 한다. 가뜩이나 코로나19로 빈사상태에 놓인 군산 고용위기지역의 지정기간 연장은 당연히 이뤄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