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교육청이 처음으로 도입한 혁신학교가 설립 취지와 달리 몸집만 커져 공교육 질을 높이는데 오히려 재정적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조동용 전북도의회 의원은 7일 전북교육청에 대한 예산심사 정책질의에서 “혁신학교가 오히려 학교현장의 혁신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조 의원에 따르면 지난 2011년 전북교육청이 첫 도입한 혁신학교는 20개 학교로 출발해 2020년 말 현재 180여개(내년도 16개 학교 추가지정 포함) 학교로 늘어났다. 전북 초중고 800여 개 학교 중 약 23%가 혁신학교인 셈이다. 혁신학교는 공교육이 안고 있는 획일적인 교육과정의 폐해를 창의적이고 주도적인 교육으로 전환함으로써 학교현장의 변화를 이끌어내자는 취지로 시작됐다.
그러나 10여년 간 혁신학교 지정 확대만 이뤄졌을 뿐, 이를 공교육 전반으로 확산시키고 뿌리내리려는 노력은 상대적으로 부족했다는 게 조 의원의 설명이다.
조 의원은 “김승환 교육감이 가장 우선시한 정책 중 하나가 혁신학교 활성화지만 지난 10년 동안의 운영성과를 엿볼 수 있는 객관적인 통계치나 분석조차 없는 게 현실”이라면서 “혁신학교에 투입되는 교육재정만 40여억 원에 이르는데 이것이 오히려 공교육 전반의 질을 높이기 위한 재정부담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제는 혁신학교 추가지정을 통한 양적 확대에서 혁신학교 운영 성과를 공교육 전반에 확산시킬 수 있는 질적 개선에 나서야 할 때”라며 “혁신학교 수 감소방침과 함께 그간의 성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공교육 전반으로 확산시킬 방안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