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 자치단체에 비해 고령인구가 상대적으로 많은 무주군이 코로나19와 맞닿은 상황에서 휴대전화만 있으면 누구든지 쉽고 간편하게 이용 가능한 출입명부 정보통신서비스를 시행한다.
기존에 서면기록 또는 QR명부 방식으로 해왔던 방문출입기록을 KT와의 협력을 통해 휴대전화를 이용한 새로운 방식을 채택하게 된 것.
전화기반 출입명부는 전통시장, 요양병원, 사회복지시설, 공공청사 등 전자QR코드 사용을 어려워하는 디지털 취약계층이 주로 이용하는 시설과 유흥·단란주점, 노래연습장 등 코로나19 중점관리시설을 대상으로 한다. 시설 방문자가 대상 장소에 부여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건 후 안내멘트에 따라 진행을 하면 30일 간 전화번호가 저장·관리되는 방식이다.
박승호 군 정보통신팀장은 “수기 명부는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로, QR코드는 사용법 숙지에 대한 제약 때문에 큰 고민 이었다”며 “전화 명부는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거는 기대가 크다”고 전했다.
무주군은 11일까지 전화 출입명부 도입 장소를 확정하고 장소마다 KT로부터 수신자 부담 전화번호를 부여받은 뒤 16일부터 본격 서비스에 들어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