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소재·부품·장비산업의 미래를 견인할 탄소산업의 성공적 육성을 위해서는 전주탄소소재 국가산업단지의 조속한 조성과 특화단지 지정이 시급하다. 국가 차원의 탄소소재산업 육성을 위해 지난 2104년부터 추진된 전주탄소소재 국가산업단지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토지보상을 내년 4월까지 마무리하고 문화재 조사를 거쳐 7월부터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총 65만5993㎡ 가운데 사유지 58만㎡에 대한 보상이 30% 정도 진행된 상태다.
2014년 시작된 탄소소재 국가산단 조성사업은 예비타당성 조사와 환경영향평가 등을 거치면서 5년이 지난 2019년 9월에야 산업단지계획 승인을 받았다. 사업이 더 지체되지 않고 오는 2024년 준공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남은 4개월 여 기간동안 토지보상 작업이 순조롭게 마무리돼야 한다.
전북도와 전주시, 정치권은 그동안 전주 탄소산업 육성을 위한 기반 구축에 전력을 쏟아왔다. 탄소산업 육성을 국가적으로 추진할 근거인 탄소소재법 개정과 국가산업단지 지정·승인에 이어 지난해 7월에는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됐다. 전북 탄소산업 발전을 이끌 앵커기업인 효성의 1조원대 투자도 이미 약속된 상태다. 내년 3월에는 탄소산업 관련 정책과 제도, R&D, 수요 창출, 시장 확대 등 탄소산업 육성 전반을 주관하는 한국탄소산업진흥원이 전주에서 출범한다.
남은 과제는 전주탄소소재 국가산단 조성사업의 차질없는 추진과 관련 기업 집적화를 위한 특화단지 지정이다. 해외 선진국은 특정 산업의 집중 육성을 위해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 개발에서 사업화까지 전 주기 협력에 중점을 두고 집적화를 추진하고 있다. 국내 기업들도 입지 확보 및 공동시설 확충, 규제 완화, 수요-공급기업간 협력체계 구축, 성능검증·양산테스트 지원 등을 요구하고 있다.
정부는 해외 사례와 기업 요구에 발맞춰 소재·부품·장비산업 육성을 위한 특화단지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전북은 한국탄소산업진흥원, 탄소국가산단, 규제자유특구 지정 등을 통해 특화단지의 조건들을 갖춰왔다. 전주탄소소재 국가산단이 원자재와 중간재, 최종 부품과 완제품 생산 기업들이 집적된 글로벌 탄소산업 메카가 될 수 있도록 전주 탄소 소재·부품·장비산업 특화단지 지정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