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에 로봇을 활용하는 자동화 기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근 현대차 그룹이 1조 원을 들여 미국 로봇 개발 업체를 인수하는 등 산업계가 로봇 사업에 집중하는 분위기다.
이 같은 흐름 속에서 농업도 로봇을 활용한 자동화 기술 확보에 나서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자율주행 기반 지능형 농업 로봇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16일 밝혔다.
농진청에서 농업용 로봇을 본격적으로 개발한 것은 지난 2011년이다. 어린모를 검출하는 장치를 개발해 2011년 11월 산업재산권을 출원했다. 이후 제초용 로봇과 견인 절단식 제초기구와 장치를 개발해 기술 이전을 마쳤다.
현재는 인공지능 기반 노지 농작업용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했다. 트랙터에 카메라와 관성 측정장치, 제어용 PC를 장착해 스스로 주행하며 밭을 가는 기술이다. 아직 상용화 단계는 아니지만 경계인식 AI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농기계 제조업체와 협업해 기술 실용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또 과원용 스마트 로봇방제기도 개발하고 있다. 무인으로 자율주행 하며 과수를 인식해 농약을 분사하는 로봇이다. 형상 인식과 방제노즐 개별 제어 기술로 실현할 수 있었다. 해당 로봇이 보급되면 전국적으로 농약 비용만 연간 2000억 원 가량 절감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같은 연구는 내년에도 계속될 전망이다.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자율주행 핵심 기술을 기존 농기계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고, 로봇 기술 조기 상용화 과제를 기획해 수행할 방침이다.
장기적으로는 자율주행 플랫폼 기반 머신과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기기를 만들고 한국형 스마트팜 실현을 위한 로봇 활용 통합 관리 기술을 구현할 예정이다. 악조건에서도 자유로운 주행과 작업이 가능한 농작업 로봇 플랫폼을 개발해 농업의 자동화를 현실화한다는 구상이다.
농진청 관계자는 “하우스 재배 같은 시설 위주 스마트팜에서 벼농사 같은 노지까지 자동화를 실현하는 것이 디지털 농업 핵심이다. 그 중심에 농업용 로봇 개발이 있다”면서 “기술 개발에 각 부서가 협업해 현장 적용이 가능한 실질적인 기술로 농업 발전에 보탬이 될 전망이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