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 부부인 김모 씨(39·나운동)는 최근 한 달 간 외식을 전혀 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이는 코로나19 감염 확산에 따른 나름의 예방 조치로, 대신 외식을 하고 싶을 때는 지역 앱 서비스를 통해 배달 음식으로 대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씨는 “확진자가 적을 때는 가끔씩 아이들과 함께 밖에서 식사를 하곤 했는데 지금은 심각한 상황인 만큼 자제하고 있다”면서 “(그러다보니) 배달 음식 소비는 늘어났다”고 말했다.
군산 공공배달앱 ‘배달의 명수’가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격상 이후 매출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군산시가 지역 내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로 격상한 시점(확진자 급증 시기) 전후의 2주간 매출추이 변화를 분석한 조사에서 드러났다.
시가 파악한 배달의 명수 매출 통계를 보면, 코로나19 확진자가 급격히 늘어났던 11월 25일부터 12월 8일까지와 이전 2주간(11월 11~24일)을 비교할 때, 주문건수와 매출에 큰 차이를 보였다.
11월 25일부터 12월 8일까지의 주문 건수는 1만 8099건에 매출액은 4억 4550만원으로, 11월 11일부터 24일 기간 때보다 각각 4439건(1만3660건), 1억 2050만원(3억2500만원)이 늘어난 것.
이에 대해 시는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시행과 코로나 19 확산 우려로 외식문화가 급격히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실제 군산시의 경우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나온 지난 1월 31일부터 11월 23일까지 38명에 불과했지만 이후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이달 16일 현재 113명으로 급증한 상태다.
특히 코로나19 사태가 심각해지자 시는 지난달 28일 0시부터 도내 처음으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2단계로 격상했다.
결국 거리두기 격상에 따라 시민들의 외출이 줄고 비대면 소비가 늘어나면서 배달의 명수 매출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배달의 명수 지역 점유율로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시가 배달의 명수 매출 상위 20개소에 대한 평균 주문건수를 추출한 결과 전화주문 42%, 배달의 민족 27%, 배달의 명수 24%, 요기요 7% 순으로 나타났다.
사실상 기존 민간 배달 앱 2위 업체인 ‘요기요’를 추월한 것.
배달의 명수는 지난 3월 13일 출시된 이후 지난 14일까지 28만건 주문, 67억 원의 매출을 기록중이다.
시 관계자는 “배달의 명수가 시장에 빠르게 안착할 수 있었던 이유는 소상공인·소비자가 서로 혜택을 보는 구조와 어플 취지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며“코로나19 시대를 맞아 영세 소상공인들의 비대면 시장 진출을 돕기 위해 더욱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