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공약으로 야심차게 추진 중인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 사업이 시작부터 삐걱거리는 모양새다.
수백억 원에 달하는 예산이 투입되는 대규모 사업이지만 내년 중순부터 진행될 실증단지 운영비가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17일 김제시와 농업기술실용화재단에 따르면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오는 2022년까지 김제 백구면 일대에 21만3000㎡ 규모로 조성한다.
사업비 91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당초 사업비는 780억 원이었지만 사업이 추진되며 점차 늘었다.
사업은 김제시가 총괄하고 농어촌공사가 시설공사를 맡는다.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은 실증단지를 운영한다.
해당 사업은 대통령 공약으로 2018년 8월 김제시와 경북 상주시, 2019년 3월 전남 고흥군과 경남 밀양시를 선정해 추진되고 있다. 김제는 상주와 함께 1차 사업지역으로 선정돼 내년 중 실증단지를 구축하고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실증단지는 농업 생산·유통 시설을 수요자 중심 체계로 시스템화 하고 청년 농업인 육성과 연구개발을 통한 기술혁신을 위해 구축한다.
문제는 실증단지 조성 예산은 있지만 운영비가 확보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은 실증단지 운영 계획을 수립한 상태다. 실증단지 시설과 설비 구축, 연구 과제, 기술 보급, 인재 양성, 농가 서비스 계획을 수립했다. 하지만 이를 운영할 운영비 확보 방안은 요원한 상황이다.
이에 김제시는 지난 9월 정부에 실증단지 운영비 50억 원(국비 25억 원+지방비 25억 원 매칭)을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사업비 910억 원 책정이 마무리 돼 추가 예산 반영이 안 된다는 논리다.
운영비가 마련되지 않으면 수백억 원을 들여 마련한 첨단시설이 유령시설로 전락할 위기를 맞는다.
이 같이 비상식적인 상황에 사업 수립 초기 운영 예산에 대한 계획을 마련했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대통령 공약 사업을 무리하게 추진해 심도 깊은 계획을 마련하지 못했다는 비판도 나오는 상황이다.
김제시 한 관계자는 “운영비가 마련되지 않으면 당장 내년 (실증단지) 가동이 힘들 수도 있다. 지속적으로 예산을 요청하고 있지만 어렵다”면서 “다양한 논리를 만들어 예산을 요청하면서 다른 기관과 사업을 연계하는 방안 등 여러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