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사면론’ 둘러싼 여당 내부 ‘정치적 공세 비판 도마위’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가 3일 국회 의원회관 자신의 사무실에서 이명박ㆍ박근혜 전 대통령의 사면과 관련한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마치고 사무실을 나서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가 대국민통합을 기치로 내건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 사면’ 카드를 두고 여당 내부의 정쟁이 심화되고 있다. 대권 구도에 올라 있는 각 후보 진영에서 국민통합의 취지는 뒤로하고 여야 정쟁구도를 촉발시키는데 주력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자칫 원팀 정신을 강조한 민주당 내 분열도 우려된다.

이낙연 대표의 사면론을 두고 전북의 민심은 사안의 흐름을 지켜본 뒤 판단하겠다는 입장이다.

A의원은 “두 전직 대통령의 재판도 안 끝난 상황에서 사면론을 꺼낸 것은 현재 여야가 첨예한 정쟁구도에 휩쌓여 오히려 원활한 국정 운영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라며 “얘기를 들어본 결과 대통령이 어떤 입장을 내놓을 지 지켜본 뒤 판단하겠다는 입장이 대다수”라고 말했다

B의원은 “민주당 최고위에서도 나왔듯이 당사자(두 전직 대통령)의 반성이 전제가 돼야 하며, 대법원 확정판결을 지켜보고 결정하겠다는 뜻”이라며 “무조건적으로 야권측 민심을 얻기 위해 두 전직 대통령 사면카드를 꺼냈다고 주장하는 것은 전쟁에서 아군에게 총질하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이와 관련 이 대표는 지난 1일 “적절한 시기에 두 전직 대통령의 사면을 문재인 대통령에게 건의하겠다”고 발언했었다.

이 대표의 발언을 두고 대선 잠룡들과 차별화 할 수 있는 통합이슈를 내세웠다는 분석도 나온다. 전북 대부분 지지층이 문재인 대통령 열성 지지층인데다 민주당 분류되는 호남의 굴레를 뚫고 나갈 동력이 필요했는데, 대통합 의제 제시로 보수층의 관심을 끌 수 있기 때문이란 해석도 나온다.

김대중 정부에서 제1부속실장 출신의 민주당 김한정 의원은 페이스북에 “김 전 대통령이 떠올랐다”며 “두 전직 대통령의 사면이 정치갈등 완화와 국민 통합에 긍정적 계기로 작용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3일 열린 민주당 긴급 최고위원 간담회에서도 사면과 관련한 결론을 내리지 못한 상황이다.

이 대표는 이날 간담회 직후 “정치는 반목과 대결의 진영정치를 뛰어넘어 국민통합을 이루는 정치로 발전해가야 한다고 믿는다”고 입장을 밝혔다.

결국 국민적 공감대와 사면권을 가진 문재인 대통령의 결단에 달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사면 논의가 본격화 된다면 입장이 엇갈린 전북 지지층들을 규합하고, 중도층 표심을 흡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