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전북인구 180만 명 붕괴가 기정사실화되면서 국가차원의 인구정책 재설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행정안전부가 집계한 전북도내 주민등록 인구는 180만4000명이지만, 통계청은 전북인구가 이미 179만 명 수준이라고 지난해 9월 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4일 행정안전부와 전북도, 통계청 등에 따르면 전북지역은 1945년 우리나라가 해당 된 이후 인구가 감소한 국내 유일한 지역이다. 전북인구는 지난 1973년 250만5000명으로 최고점을 찍은 이후 지속적인 감소세를 거듭했다.
1960년 이전엔 전북인구가 서울보다 많았다. 1955년 기준 전북 인구는 213만 명으로, 서울 157만 명보다 56만 명을 웃돌았다. 1960년엔 전북 240만 명, 서울 244만 명으로 엇비슷했다. 하지만 산업화 과정에서 사람들이 서울로 몰려들기 시작했고, 농업이 쇠퇴하면서 전북인구는 1990년대 200만 명대가 붕괴됐다. 2000년대부터 교육 인프라까지 수도권이 장악하면서 매년 1만5000~1만8000명 정도의 전북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전북 출생아 수는 2019년 1만 명대가 붕괴됐고, 지난해에는 8318명이 태어나는 데 그쳤다. 반면 사망자는 계속 늘어나고 있는 추세로 도시 노후화가 빨라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평균 전북의 합계 출산율은 0.9명대로 부부 한 쌍이 단 한명의 아이도 낳지 않는 가정이 많아졌음을 실감케 했다. 도내에선 매년 7만1000여 명의 도민이 다른 지역의 떠나고 있는 데 이들 중 대부분이 20~30대 청년이다. 대신 귀농귀촌과 직업상의 이유로 6만 여명이 전북으로 전입하면서 순유출인구는 8500~1만3000명 사이를 유지하고 있다.
청년인구를 빨아들이는 수도권 블랙홀을 막으려면 전북인구 정책도 큰 틀에서 개혁이 이뤄져야한다는 게 중론이다. 이러한 점에서 전북 메가시티 추진과 광역도시 건설 등 인구를 유입시킬 수 있는 도시 외연의 확장이 시급한 과제로 거론된다. 실제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인구통계를 분석하면 인구가 증가한 지역은 모두 서울이나 부산 등 광역대도시 주변지역이 대부분으로 도시 광역화와 인구증가의 연관성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전북과 인구가 적은 충북 역시 청주와 청원이 통합한 이후 인구가 증가세로 돌아섰다. 이에 150만 명대인 충북인구는 2019년 160만 명을 돌파한 상황이다. 반면 인구증가의 직접요인인 특별시와 광역시 인구는 주변도시로 흡수되면서 오히려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행정구역 통합이나 광역화 등 도시의 규모화가 추진 될 경우 중심도시만 수혜를 볼 것이란 통념을 깬 결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