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지용 전북도의장 “새만금 15번째 지자체 공론화 필요. 눈 감고 있지 않겠다”

새만금 메가시티 건설, 각 지자체 이해관계 첨예. 표 의식한 문제 회피말고 공론화 필요
4차산업혁명 시대 뉴노멀 중심축 정책 대안 제시, 소상공인 지원 정부에 맡겨두지만 않아

송지용 전북도의장

“새만금을 독립된 15번째 단일행정구역으로 조성해 전북의 큰그림을 그려나가야 합니다.”

송지용 전북도의회 의장이 새해 첫 화두로 ‘새만금 단일행정구역’조성을 제시했다. 수십여년간 답보상태에 놓인 전북 경제 변곡점을 넘어서기 위해선 지자체간 갈등을 최소화하고 힘을 한데 모아 역량을 집중할 구심점이 필요하다는데서다.

송지용 의장은 “새만금을 독립된 15번째 자치단체로 만들기 위한 공론화가 필요하다. 사회 지도층이 (지역 이기주의에 따른 갈등 촉발과 책임떠안기를) 회피하지말고 부딛혀 나가야 한다”면서 “도의회 내부 역시 (시군 지역구 의원들간) 이해관계가 맞물려 있지만 (이를 알면서도 모른 척하며) 눈감고 있지만은 않겠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국가 종합개발계획이 행정수도 완성과 메가시티 조성에 촛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전북 역시 새만금을 활용한 전북 자체의 메가시티 건설을 통해 외연을 확장하고 이를 다시 14개 시군과 연계시켜야 한다는 전략이다.

바다를 메워 만들어가고 있는 새만금은 군산과 김제, 부안이 맞물린 지역으로 관할지역 관리권 및 소유권을 놓고 치열한 다툼이 일고 있는 분쟁 지역이다.

정치권과 오피니언 리더층이 욕을 먹더라도 전북지역 내 새만금 단일행정구역 조성을 위한 공론화를 시작하는 과감한 결단이 필요하다는 게 송 의장의 의중이다.

인구와 경제 주도권을 모두 흡수하는 서울-수도권 블랙홀 현상이 비대화해지고 있는 가운데 새만금과 전주, 익산, 완주, 무진장, 임순남 등 동부권 및 내륙 등을 잇는 메가시티 조성을 통해 전북만의 생존전략을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송 의장은 “전북은 4차산업혁명 시대를 어떻게 준비하느냐에 따라 도약과 후퇴를 결정하는 중대한 갈림길에 서 있다”며 “탄소, 수소 등 4차산업혁명 시대 뉴노멀의 중심축 역할을 할 새만금을 생산·공급 기지로 만드는 정책 등의 대안을 제시하겠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와 관련해서도 위기에 놓인 전북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지원대책을 정부에만 맡겨두지 않겠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송 의장은 “코로나 사태가 1년 이상 지속되면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는 물론 도민 모두에게 전례없는 경제적 고통과 생활의 불편함을 안겨주고 있다”며 “지원 역시 중앙정부만 바라볼 수 없는 상황으로 요식업소 교육 유예 등 전북 내 직간접 지원책을 총동원 하겠다”고 밝혔다.

32년만에 개정된 지방자치법과 관련해서는 “자치단체 조직 및 운영은 여전히 법률로 정해져 있어 중앙정부의 통제를 받는다”면서 “1년의 유예기간을 헛되이 소비하지 않고 개정법의 내실을 갖춰갈 수 있도록 선제적 대응에 나설 방침”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