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에 맞서 최일선에서 고군분투(孤軍奮鬪)하고 있는 간호사 등 의료인력들의 사기가 저하될까 우려된다.
정부가 지난해 추가경정예산을 세워 지난해 5월 말까지 코로나19 업무에 투입된 간호사 등 의료인력에 대해서는 보상 지원을 했지만, 이후 기간에 대해서는 명확한 지급 논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일선 현장에 근무하는 의료인력들은 현재까지 수당이 지급될 것으로 알고 있으며, 정부의 명확한 방침이 내려오지 않아 혼선을 빚고 있는 실정이다.
코로나19 확진자 관리 병동에 투입된 의료인력에 지급하는 수당에 대한 명확한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5일 전북도에 따르면 하루 수당으로 의사·간호사·간호조무사는 3만9600원, 방사선·임상병리사는 2만8000원, 기타 방역 인력은 2만 원 등으로 책정됐다.
전북 도내 대상 기관으로 감염병 전담병원인 군산·남원의료원과 전북대병원, 원광대병원, 진안군의료원까지 포함된다. 현재 도내 959명의 의료인력이 수급 대상으로, 실제 해당 의료기관에 확진자가 있던 기간을 산정했다. 이러한 수당 지급은 정부 차원의 조치로, 추경을 통해 확보된 예산을 지자체에 지급하고, 지자체가 각 의료기관으로 집행하는 형식으로 이뤄졌다.
의료인력에 대한 수당 지급은 기준 마련 등으로 미뤄지다가 지난해 12월 말 완료됐다. 이마저도 지난해 5월 말까지 수행한 업무에 한정됐고, 당시 수당을 받았던 일선 현장 의료인력들은 하반기 수당이 지급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의아해하는 반응이 많은 상황이다.
이와 관련 보건복지부는 지난해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당을 지원할 지 여부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수당 지급도 본예산이 아닌, 추경을 통해 이뤄졌고, 현재로서는 파견직 의료인력에 대한 수당 논의 등이 주가 되는 상황이라는 게 복지부의 설명이다.
이 때문에 지난해 하반기 근무에 대한 수당이 지급될지도 확실치 않은 실정이다. 1년 가까이 코로나19 최일선에서 사명감으로 일해 온 의료인력이지만, 이들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것을 방증하는 상황이다. 기존에 노력해온 의료인력에 대한 관심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더욱이 최근 전북 지역 내에서는 환자를 돌보다 감염되는 간호사들이 잇따르고 있는 등 일선 현장의 의료인력에 대한 처우 개선 목소리가 높다. /천경석 기자·문정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