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인플루엔자 드론 방제, 농협 ‘최저가 입찰’ 실효성 의문

“AI 드론 방역 단가가 맞지 않아 일을 그만뒀습니다.”

최근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 방지를 위해 방역에 참여했던 드론업자 A씨(45)의 말이다.

조류인플루엔자 방역을 위한 드론 방역 업체선정 입찰이 최저가낙찰제로 진행되면서 부실화 우려와 함께 관련업체들의 거센 불만을 사고 있다.

공공 공사의 경우 300억 원 이상 시설공사는 그동안 최저가낙찰제로 입찰이 진행됐지만 부실시공 우려 등 각종 부작용이 커지며 종합심사제로 변경됐는데도 드론방역 입찰을 진행한 농협은 최저가낙찰제를 고수하면서 효과적인 방역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정읍 3곳, 남원·고창·부안 각 2곳, 임실·익산 각 1곳 등 전북지역에 AI가 확산되면서 농림축산식품부와 각 지자체는 AI 확산 방지를 위해 전방위로 방역 작업을 벌이고 있다.

특히 드론은 공간 제약을 받지 않고 효율적으로 방역 활동을 진행할 수 있어 현장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드론은 일정 범위에 미리 좌표를 찍은 지도를 따라 비행하며 소독약을 뿌려 작업 효율이 높다.

문제는 드론 방역업체 선정이 최저가 입찰로 이뤄져 실효성에 의문이 생긴다는 점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달 농협경제지주를 통해 방제작업 참여업체 입찰공고를 냈다. 사업기간은 이달 1일부터 다음달 28일까지 2개월 간 진행된다. 방역에 필요한 드론은 전북지역에만 36대인 것으로 판단했다.

입찰을 진행한 농협경제지주는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을 근거로 구매예정가격 이내 단가 입찰자 중 최저단가 입찰자를 선정 기준으로 내세웠다.

이를 통해 현재 전북과 전남을 통틀어 호남권역을 담당할 한 업체가 선정됐다.

선정된 업체는 농식품부 요청에 따라 AI 발생 지역이나 사전 예방이 필요한 철새도래지 등을 찾아 방역 작업을 진행한다. 비용 청구는 작업을 앞서 진행한 뒤 차후에 청구하는 사후정산 방식으로 이뤄진다.

통상적으로 드론 방역업체는 장비와 기술을 가진 인원을 모집해 지입 개념으로 일을 진행한다. 이런 상황에 개인 드론업자들의 참여가 방역 작업에 필수요소다.

하지만 드론업계에서는 이번 방역입찰에 대해 따가운 시선을 보내고 있다. 최저입찰이 진행되며 업체 간 가격 경쟁이 생겼고, 적정한 입찰단가가 책정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농협경제지주는 선정된 업체의 입찰 가격 공개를 거부했다.

드론업계에서는 이번 방역 작업에 참여하지 말자는 분위기가 팽배한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까지 드론 방역에 참여했던 A씨는 “농협 입찰 전 드론 방제작업에 나서면 하루 38만 원을 받았다. 지금은 18만 원을 준다고 한다”면서 “도저히 수지타산이 맞지 않아 작업에서 빠졌다. 내 인건비와 장비 투입비용까지 감안하면 정상적인 비용이 아니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런 상황에 방역에 나선 드론 운용자들이 사명감만으로 작업을 제대로 완수할지 의문이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