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헌율 익산시장이 최근 송하진 전북도지사의 전북 광역도시 구상 발표와 관련해 ‘익산·새만금 광역도시권’과 ‘전주·완주 광역도시권’ 등 2개 권역 설정 방안을 제안했다.
국토 균형발전 차원에서 조성된 전주·완주 혁신도시를 거점으로 하는 전주 광역도시권과 동등한 지위의 익산·새만금 광역도시권을 설정하면, 전주 중심 일극 성장에서 다변화를 꾀할 수 있고 2개 권역의 상호 윈윈 협력체계를 구축해 전북의 경쟁력과 성장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정 시장은 7일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메가시티(광역도시)를 조성하는 게 국제적인 트렌드이고 국내의 추세인데, 단순히 행정구역을 붙이고 쪼개고 하는 것은 의미가 없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현재의 전주 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난 전향적인 발전전략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정 시장에 따르면 익산과 군산·김제·부안·새만금 광역도시권의 인구 규모는 약 115만명이고, 전주와 인접 시군이 포함된 광역도시권의 인구 규모는 약 140만명이다.
이처럼 대등한 규모를 가진 2개의 광역도시권이 전북 발전의 쌍두마차가 돼 전북의 성장가능성을 2배로 끌어올려야 한다는 게 정 시장의 구상이다.
특히 정 시장은 “익산·새만금 광역도시권이 설정되면 대한민국 서해안 중심부 트라이포트(국제철도역·국제항만·국제공항)라는 국제 SOC 기능을 보유하게 된다”면서 “이를 활용해 향후 유라시아와의 인적·물적 교류의 교두보로 삼아 전북 발전을 견인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북도에서 광역도시 구상 관련 용역을 계획하고 있는데 익산·새만금 광역도시권 제안이 용역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