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락한 노후? 살던 집도 날릴 판... 전북혁신도시 점포주택 참사

전북혁신도시 점포주택들이 코로나19로 월세가 밀리거나 폐업으로 7일 임대를 내놓은 상가들이 줄을 잇고 있다. /오세림 기자

“먼지만 쌓여가는 1층 상가만 보면 가슴이 무너집니다. 주변을 봐도 1층 상가가 텅텅 빈 곳이 수두룩하니…. 코로나19로 그나마 임대가 나갔던 점포도 문을 닫는 날이 많아 월세가 6개월 동안 밀린 상태입니다.”

공무원 출신인 A씨(65). 그는 4년 전 은행융자 3억 원에 퇴직금 등 4억 원을 모두 털어 전북 혁신도시에 3층짜리 점포주택을 한 채 지어 3층 주인세대에 살고 있다.

퇴직 후 일정한 수입이 없기 때문에 점포에서 세를 받아 생활비를 충당하려는 계획에 살던 집까지 처분하고 점포주택에 올인 했지만 1층 점포까지 세가 나가지 않아 생활비는커녕 이자부담에 허리가 휘고 있다.

엎친데 겹친 격으로 지난해부터 코로나19로 인해 그나마 월세가 나오던 점포도 가게를 접을 상황에 처하면서 그야말로 길거리에 나앉아야 할 극한 형편에 몰렸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편안한 노후를 기대하면 퇴직금을 털어 전북혁신도시에 점포주택을 매입하거나 신축한 은퇴자들의 참변을 겪고 있다.

점포주택은 점포를 겸할 수 있는 단독주택으로, 음식점과 세탁소, 편의점 등 근린생활시설의 설치가 허용된다.

통상 250㎡ 안팎의 부지를 매입해 3층짜리 건물을 짓고, 1층은 3~4개로 쪼개 상가로 내놓는다. 2층은 3~4세대 정도의 다가구주택으로 세를 놓고, 3층에 주인세대가 거주한다. A씨의 비극은 지난 해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시작됐다.

1층 3개 점포중 2개에서 임대료를 받아 은행이자를 충당했는데 가게가 문을 닫아 월세가 밀리면서 수개월째 은행이자를 내지 못해 건물이 경매에 넘어갈 처지에 놓여있다.

불경기와 코로나19로 곤란한 형편에 놓인 것은 A씨 뿐만이 아니다.

도내 부동산 중개업계에 따르면 혁신도시 내 점포겸용 단독주택지는 약 200필지에 육박한다.

대부분이 여유자금을 털고 은행융자를 받아 점포주택을 매입한 상황이어서 A씨 같은 형편에 놓인 경우가 상당할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상업용 부동산 통계지표에도 지난 해 말 전북지역 소규모 상가의 공실률이 11.7%로 전국 평균 6.5%의 2배에 육박하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금리 기조가 계속되면서 빚을 내 상가에 투자하는 경우가 증가했지만 투자소득은 0.71%로 전국 평균 0.82%를 밑돌아 노후생활을 위해 상가에 투자했던 은퇴자들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

부동산 중개업계의 한 관계자는 “점포주택 필지에 1개주택만 잡아도 점포주택이 200개 정도 되는데 이 중에서 1층 상가점포가 임대된 곳은 절반도 되지 않는다”며 “코로나19로 가게를 접는 곳이 많아 월세를 받아 이자 내기도 빠듯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혁신도시 주변부의 점포주택까지 활성화하려면 ‘테마형 상가’ 조성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변한다. 혁신도시의 자족기능을 강화하고 유동인구를 확장하기 위해 막걸리 촌이나 가맥촌을 조성하는 등 스토리를 입힌 ‘특화상권’을 조성해야 할 것이라는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