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대통령 “새해는 회복·통합·도약의 해”

2021년 키워드… “우보천리처럼 일상회복할 것”
“여건 된다면 남북관계 발전에 마지막 노력”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오전 청와대 본관에서 화상으로 열린 '2021년 신년 인사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7일 “새해는 통합의 해”라며 ‘회복·통합·도약’을 2021년 키워드로 제시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화상으로 주재한 신년 인사회에서 “2021년 우리는 우보천리, 소걸음으로 천 리를 가듯 끈질기고 꾸준하게, 끝끝내 소중한 일상을 회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먼저 문 대통령은 “새해는 ‘회복의 해’다. 지금 우리는 코로나 3차 유행의 마지막 고비를 넘고 있다”며 “많이 지쳤고 힘들지만 우리 국민의 역량이라면 이 고비도 충분히 이겨낼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다음 달부터 우리는 백신 접종을 시작할 계획으로, 우리 기업이 개발한 치료제의 심사도 진행 중”이라 소개하면서 “철저한 방역과 백신과 치료제를 통해 반드시 코로나를 극복하고 소중한 일상을 회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새해는 ‘통합의 해’다. 코로나를 통해 우리는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절감했다”며 “가장 어려운 이웃부터 먼저 돕자는 국민들의 마음이 모여 다음 주부터 3차 재난지원금이 지급된다”고 했다.

특히 “더욱 중요한 것은 마음의 통합”이라며 “우리가 코로나에 맞서 기울인 노력을 서로 존중하고, 우리가 이룬 성과를 함께 인정하고 자부하며 더 큰 발전의 계기로 삼을 때 우리 사회는 더욱 통합된 사회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더불어 “새해는 ‘도약의 해’”라며 “코로나의 어려움 속에서 대한민국을 재발견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는 결코 2류가 아니었고, 영원한 2등도 아니었다”며 “K-방역뿐 아니라 세계 최고의 디지털기술, 빠른 경제 회복, 뛰어난 문화 역량, 발전된 민주주의 속의 성숙한 시민의식까지 다른 나라들이 부러워하는 국민 역량을 보여주었고, 세계에서 모범국가로 인정받았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이제 우리는 ‘한국판 뉴딜’의 본격적인 실행으로 빠르고 강한 경제 회복을 이루고, 선도국가로 도약할 것”이라면서 “‘2050 탄소중립’정책으로 세계와 함께 기후변화 대응을 이끌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여건이 허용한다면 한반도의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남북관계의 발전을 위해서도 마지막까지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