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유식 해상풍력 시스템 개발 공모에 참여하는 전북컨소시엄이 현대중공업과 손을 잡고 유치에 나선 가운데, 도내 정치권의 전폭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지난해 군산시와 군산조선해양기술사업협동조합, 전북테크노파크 등이 참여한 ‘전북 컨소시엄’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한 ‘2020년 제1차 에너지 개발사업’ 공모에 참여해 1단계 연구과제에 선정됐다.
8MW급 부유식 해상풍력 시스템을 개발하는 연구과제로, 1단계가 설계 기준에 관한 연구와 실증 후보지 발굴 등이었다면, 2021년부터 본격 추진될 2단계는 기술 개발과 제작, 실제 해역 운전 등이 이뤄진다. 전북 컨소시엄은 전남, 경남, 울산과 경쟁 중으로 정치권의 적극적 공조가 뒷받침돼야 사업을 선점할 수 있다.
1단계에서 각 컨소시엄당 5억 원 내외의 정부 지원이 이뤄졌다면, 2단계 최종 선정 시 270억 원가량을 지원받는다.
지난해 5월 1단계 선정도 이미 두 세 발 앞서 있는 다른 시도와의 경쟁에서 살아남은 만큼 오는 2월 예정된 2단계 최종 선정에서도 전북컨소시엄이 빛을 볼 수 있을지 기대된다.
전북 컨소시엄은 최근 2단계 사업계획서를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에 제출했다. 특히, 이번 2단계 사업에는 (주)코스텍을 주관기관으로, 현대중공업과 한국명양코퍼레이션이 참여한다.
컨소시엄에 따르면, 부유식 해상풍력 시스템 제작과 운송, 설치, 시운전 등을 맡을 현대중공업의 참여로 군산조선소 재개에 대한 희망을 이어갈 수 있다는 분석이다. 더욱이 중국의 풍력개발 업체인 Mimgyang Smart Energy Group Ltd.(명양스마트에너지, 이하 MySE)가 국내 지사를 설립해 사업에 참여하는 것도 고무적인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컨소시엄에 따르면 MySE가 새만금지역에 투자를 통해 해상풍력 국산화율 70% 이상으로 국내 시장 진출을 추진 중이다.
컨소시엄은 향후 전북도 일대에 5GW급 해상 풍력을 전개하고, 이를 통해 전력계통 부문에서 ‘섬’ 지역에 불과한 대한민국을, 국가 간 계통 연계를 통한 전력산업의 변화를 구상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군산을 한중 재생에너지 산업 거점으로 변화하고, 동시에 국내 해상풍력발전 전진 기지 역할도 기대할 수 있다는 구상이다.
다만, 현재로서는 전남과 경남, 울산 등 경쟁을 벌이는 지자체보다 관심과 지원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울산의 경우 광역단체 중점 사업으로 부유식 해상풍력을 추진하고 있고, 경남과 전남도 역시 마찬가지다. 이 때문에 이번 사업에 전북도뿐만 아니라 지역 정치권에서도 관심을 갖고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전북 컨소시엄 관계자는 “부유식 해상풍력은 국내에서 초기 단계에 있는 사업으로, 향후 발전 가능성이 무궁하다. 더 나아가 전력산업 부문에서 중국과 연계해 대륙으로 진출할 가능성도 크다”며 “특히 전북도에 설치되는 해상풍력발전시스템은 전북 도내에서 제작한 시스템으로 발전한다는 구상이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 부유식 해상풍력이란?
부유식 풍력발전은 육지가 아닌 해상에 발전 시설을 띄운 상태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풍력발전 방식이다. 심해로 갈수록 풍량이 우수하고 입지 제약이 적어지는 장점이 있다. 지반에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으로 심해 설치와 대단지 조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전력전송과 운송·설치, 운영·유지보수 등의 비용 증가로 경제성 확보가 주요한 산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