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민이 원하는 전주 대한방직터의 활용방식이 1년의 공론화 끝에 이달 말 결론 날 예정이다.
11일 전주시에 따르면 전주 옛 대한방직 부지 공론화위원회가 마련해 시민 120명이 대한방직터의 이상적인 활용방안을 논의하고 정리하는 시민참여단 숙의토론회가 23일 개최된다.
이는 지난해 2월 대한방직터 공론화 사전준비위원회부터 시작해 약 1년에 걸친 공론화 과정을 마무리하는 마지막 총괄회의로, 공론화위원회는 시민참여단의 숙의토론 결과를 가지고 시민 의견으로 도출한 결정(안)을 전주시에 권고한다.
옛 대한방직 부지 관련 시민공론화위원회는 23일 전일고등학교에서 시민참여단(120명) 숙의토론회를 대면·비대면 방식을 병행해 진행한다.
당초 시민참여단 사전교육과 숙의토론회가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연장 등으로 연기됨에 따라 결과 도출이 해를 넘기게 됐는데, 시정 운영과 도시계획 등에 있어 결론도출을 더이상 미루기 어렵다는 게 위원회의 판단이다.
위원회는 숙의토론에 비대면 방식이 적용되는 만큼 공론화 이해, 숙의토론회 역할, 시나리오워크숍 경과 등의 내용이 담긴 영상·자료집을 만들고, 이번주 안에 시민참여단에 영상과 자료집을 배포해 충분히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부여한다. 토론회 당일에는 전일고 13개 교실에서 12명씩으로 나뉜 10개 조가 분임토의와 전체토의를 병행할 계획이다.
이날 토론 후 위원회 차원의 재논의나 추가적인 시민참여 절차가 남아 있는 게 아니어서, 사실상 이날 토론 결과가 위원회가 시에 제출하는 최종 결정안 내용이 되는 셈이다. 위원회는 권고안 내용을 정리해 빠르면 이달 말 또는 다음달 초 전주시에 제출할 계획이다.
이양재 옛 대한방직 부지 공론화위원장은 “코로나19 추가 확산 우려 및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연장 등에 따라 시민의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철저한 방역대책을 수립하고 이에 따른 방역지침을 준수할 수 있도록 토의 장소 분리 및 온라인 비대면 방식 활용 등을 계획하게 됐다”면서 “이번 공론조사 진행과 관련 중립적 위치에서 전주 시민들의 공정한 의견이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