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신용보증재단 이사회가 금융센터 건립사업 추진 계획에 제동을 걸면서 건립 방식의 타당성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전북도는 지난해 11월 사안의 시급성을 고려해 센터 건립방식을 전북개발공사 보조사업 방식에서 전북신용보증재단에서 사업을 추진하기로 변경했다.
의결 당시 전북도는 금융계 전문가들로 구성 된 ‘전라북도 금융산업발전위원회‘에 추진방식 변경 타당성에 대한 의견을 물었다. 그 결과 신용보증재단에서 개발하는 방식이 빠르고 안전하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다만 위원들은 “전북국제금융센터의 규모를 더 키워야 할 필요성이 높다”면서“2차 금융센터 건립계획부터는 센터의 규모화와 독창성을 담아 달라”고 주문했다.
전북신보 건전성 등을 고려한 건립 명분에 문제를 삼은 전문가는 없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후 전북신보 이사회는 전혀 다른 결론을 내면서 그 속내에 궁금증이 쏠리고 있다.
전북신보 개발 방식은 전북국제금융센터를 중심으로 재단 신사옥을 건립하는 것이다. 전북신보의 재산이지만, 주요 기능은 금융센터다. 이로써 누릴 수 있는 효과는 중앙투자심사 면제와 절차 간소화를 통한 사업기간 단축이다.
전북경제통상진흥원을 활용하는 방식과 한국자산관리공사 위탁 방식도 거론됐으나 경진원은 예산부담이 크고, 자산관리공사는 수백억 원의 수수료 발생 등의 문제가 걸림돌로 작용했다.
전북금융센터는 당초 전북개발공사 보조사업으로 추진되고 있었으나 중앙투자심사 단계에서 시간이 지연되고, 경제성 평가 부문에서 지역적 특성이나 가치를 인정하지 않아 사업방식의 변경이 불가피했다.
이는 사실상 전북신보를 활용한 건립방식이 제3금융중심지 지정과 금융기관 추가유치에 속도를 낼 수 있는 대안으로 선택의 여지가 별로 없었다는 의미다.
센터 및 사옥이 건립되면 거의 모든 사무실의 분양이 예상돼 있다. 최악의 경우엔 국민연금공단이나 관련 시설의 입주도 가능하다.
부산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 센터 분양에 대한 일각의 우려는 말 그대로 기우였다고 한다. 실제 부산 금융센터(BIFC)의 경우 63층으로 건립돼 분양 미달이 우려됐으나, 수요가 넘쳐 3단계 사업까지 이어지고 있다.
물론, 전북신보재단 자체 보유 자금 1700억 원 가운데 센터 건립비로 1200억원을 투자하고, 남은 500억 원의 자금으로 대위변제 손실 준비 등이 어려울 수 있다는 지적이 일리가 없는것은 아니다. 최악의 상황을 감안, 치밀한 대안을 마련해야한다는 것 또한 일리가 있다. 이사회측은 유보 사유로 “전북신보가 사옥 건립에 자금을 투입 할 경우 본연의 목적인 소기업·소상공인 신용보증 업무에 차질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점을 들었다. 하지만 신용보증 공신력을 높이는 기초재원인 기본재산에 건물이 포함되기 때문에 신용보증 업무가 장애가 생길 것이란 우려는 지나치다는게 중론이다.
이 사업이 도 직접사업으로 추진되기에 전북도 보증도 가능하다.
보증사고 대비 대위변제 예상에도 큰 무리가 없다는 게 도의 판단이다. 실제 코로나 자금지원증가에 따른 보증사고 증가는 올해 말부터 2023년까지 2년 정도 한시적일 것이라는 게 금융계의 의견이다.
아울러 전북지역은 대위변제 손실로 매년 총보증액에 1.2%(최근5년 평균) 정도 소요, 매년 200억 원 정도가 출연되고 있는 데 센터 건립 후 전북신보 유동자산으로 지난해 대비 3배(3.6%)까지 대위변제 손실 준비(2년간)가 충분히 가능한 상황이다.
서울, 부산, 경기 등 타 지역사례를 살펴봐도 신사옥을 교육 컨설팅 등 멀티플렉스 공간으로 활용하면서도 신용보증 업무에는 차질이 전혀 없었다. 곧 재상정될 금융센터 건립안이 향후 어떤 결론을 맺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