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극적 국토균형발전 전략으로서 각 권역을 묶는 메가시티 육성 논의가 뜨겁다.
수도권 과밀화에 대응해 지방소멸을 막고 지방이 자생하기 위해서는 권역별 내부 연계를 통한 이른바 메가시티 육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메가시티의 전제조건은 단연 광역교통망이다. 연계의 시너지를 내기 위해서는 서울-인천-수원 등을 연결하는 수도권 전철망과 같이 권역 내 경제공동체를 잇는 교통망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부산, 울산, 경남을 아우르는 동남권 발전전략으로서 동남권 메가시티는 그 교통기반으로 부산-울산-마산을 잇는 전철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경남 창원시 마산역-부산시 부전역-울산시 태화강역으로 이어지는 경전선과 동해남부선 복선 구간에 운행 간격 20분 단위의 전동열차를 운행토록 하겠다는 것이다.
비단 동남권뿐만 아니라 각 권역에서 수도권 과밀화에 대응해 지방소멸을 막고 지역을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메가시티 육성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9년말 기준, 수도권에 거주하는 인구는 2,591만명으로 전체 인구 5,182만명의 50%를 넘어섰다. 안타깝게도 이에 따른 수도권 과밀화는 부동산, 교육, 인구 등 여러 분야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낳고 있다.
반면 비수도권 지역의 소멸 위험지수는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전국 시·군·구의 46%가 소멸위험에 놓여있으며, 이 가운데 92%가 비수도권 지역이다.
전북도 2019년 시도별 합계출산율에서 수도권 및 광역시를 제외하면 최저를 기록하며 전주시 주변과 군산시를 제외한 나머지 시·군지역이 모두 소멸위험 지역으로 분류되었다.
전북 메가시티 육성 등 지방소멸을 막고 지역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이 절실한 까닭이다.
전북은 새만금을 중심으로 정치·행정에 특화된 전주, 역사·문화에 특화된 익산, 산업·물류에 특화된 군산 등 각 거점도시의 연계를 통한 독자적인 강소 메가시티 구축을 검토해볼 수 있다.
여기에 필자는 전북 메가시티의 전제이자 선행조건으로서 전북권 광역철도망 구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사실 전주-익산-군산 등을 잇는 전북권 광역철도의 필요성은 오래전부터 제기되어왔다. 이제는 다시 힘을 모아 추진해야 할 때다.
특히 지난해 익산-대야 복선전철과 군장산단 인입철도가 개통하면서 우리나라 내륙에서 군산항에 이르는 철길이 모두 이어진 상황이어서 전북 광역철도망 구축을 위한 기반은 마련되었다.
2024년 신창에서 대야까지 이어지는 장항선 복선 전체 구간이 개통되면 경부선-장항선-전라선을 잇는 서해안 축 주요간선 철도망도 완성된다.
또한 장항선과 2021년 개통 예정인 경의선 소사-대곡 구간, 2022년 개통 예정인 서해선 원시-소사 구간까지 연결되면 서해안 축을 통한 수도권 접근성도 크게 높아질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전북 내 거점도시들을 서로 잇는 광역철도망이 구축되면 이들 지역을 하나의 생활권으로 묶어 지역발전의 견인차로 삼을 수 있다. 전북의 미래를 위해 광역철도망 구축이 절실한 이유이다.
최근 도내에서는 전주-완주, 새만금에 인접한 군산-김제-부안 등의 행정통합 논의도 이루어지고 있다. 무조건적인 통합이 정답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전북의 도약과 국가균형발전 및 문재인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에서 새만금이 차지하는 위상을 고려할 때 혜안을 찾는 발전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021년 새해에는 더욱더 하나 되는 전라북도를 기대한다. /신영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군산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