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의 ‘법정문화도시 지정’에 성공한 완주군이 한국판 뉴딜사업의 핵심으로 꼽히는 수소산업 중심지 및 완주산업단지 철도망 구축을 위해 연초부터 강한 드라이브를 걸고 나섰다. ‘문화도시’에 ‘수소산업’까지 더하고, 또 고속도로 옆에 위치한 완주산단에 철도망까지 연결, 명실상부한 ‘자족도시’ 비상을 위한 디딤판을 확실히 다지겠다는 것.
박성일 완주군수는 28일 국회 산자위 이수진 의원(더민주·동작을)과 송갑석 의원(광주 서구갑)을 잇따라 방문, ‘수소특화 국가산업단지 조성’과 ‘친환경 수소농기계 개발 및 상용화단지 조성’ 등 지역 현안을 반영해 달라고 건의했다.
박 군수는 “수소산업은 한국판 뉴딜 사업 중 그린뉴딜 정책의 핵심 분야이고, 완주는 수소상용차 산업의 중심지”라며 “낙후 전북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침체일로의 지역 주력산업 부활을 위해서는 수소산업 인프라가 잘 갖춰진 완주에서 국가 주도의 대규모 수소산업 프로젝트가 진행돼야 한다”며 관심과 협조를 요청했다.
이어 “완주 ‘수소특화 국가산업단지’가 올해 1·4분기 중에 확정되는 지역균형뉴딜의 대표사업으로 선정되고, 이어 하반기에 예정된 국토부의 예타 대상사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지원해 달라”고 건의했다.
정부는 지자체 주도형 뉴딜 사업 중 한국판 뉴딜(디지털·그린 뉴딜)과의 정합성 등을 고려해 ‘지역균형뉴딜 대표사업’을 선정하고, 사업이 신속히 진행될 수 있도록 집중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박군수는 이 지역균형뉴딜 대표사업에 완주군이 추진하는 ‘수소특화 국가산단 조성’이 포함될 수 있도록 요청한 것이다.
박 군수는 또 수소농기계 개발과 이동식 충전 시스템 개발을 위한 ‘친환경 그린(수소) 농기계 및 이동식 충전시스템 개발’ 지원도 건의했다.
글로벌 농기계 시장 규모는 지난 2014년 154조7700억 원에서 2019년 212조8500억 원으로 매년 평균 6% 이상 고성장하는 산업으로, 전북에는 LS엠트론(완주)과 동양물산(익산) 등 농기계 대기업이 소재, 연료전지와 농기계 전문연구기관을 중심으로 한 수소 농기계 신산업의 최적지로 꼽힌다.
박 군수는 이어 국회 국토위원인 소병훈 의원(경기 광주시갑)을 방문, 1000만㎡ 규모의 완주산단과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를 잇는 산업선이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고, 소양~동상 간 국지도 55호선의 시설개량 사업이 일괄 예타를 통과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