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상공회의소 회장 선거를 앞두고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 점입가경이다. 지역 정치권에서 선거 때마다 수십만 명이 권리당원 모집에 참여하여 동원·대납 당원의 문제로 지탄의 대상이 되곤 하는데 지역 경제 사령탑을 뽑는 전주 상공회의소 회장 선거에도 수백 명이 짧은 시간에 다발로 회원 가입을 하여 투표권을 행사하려는 초유의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지역정치를 더럽혀온 특정 정당의 동원 방식과 경선 카르텔이 규약 상의 허술함과 편의적 해석을 통해 상공회의소 선거에도 재현되고 있어 안타까움을 넘어 분노를 느끼게 한다. 전주 상공회의소는 과거 20여 년 동안 회원 수가 대략 300∼400명 사이를 오르내렸다. 하지만 최근 회원 수가 1168명이 급증하여 회장 선거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년 회비 50만 원을 납부하면 회원 자격이 주어지는 맹점을 이용하여 회장 후보들이 지지 회원을 확보하기 위해 최근 몇 달 사이에 가입시킨 것이다. 여기에 더해 년 회비를 분할 납부할 수 있다는 것을 악용하여 일단 지난해 말 25만 원을 납부한 신규 가입자들이 대부분이다. 신규 가입자에는 1인 사업자들이 특정 후보의 권유로 대거 가입하고 동일한 회사에서 일하는 중기 기사들도 1인 사업자라 수십 명이 동시에 가입했다고 하니 지극히 비정상이다.
이러한 진흙탕의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이번 회장 출마자들을 중심으로 임시 총회 소집을 요구하여 얼마 전 임시 대의원총회를 열고 회원 폭증 문제에 대해 논의하여 최근 25만 원을 내고 회원 자격을 획득한 회원에게는 이번 회장 선거 투표권을 부여하지 않기로 규약을 개정하였다. 상공회의소 규약 개정은 제적 대의원 75명 중 50명이 참석하여 2/3 이상이 찬성하여 가결되었다. 규약 개정은 개정된 안에 대해 하자가 없으면 도지사의 승인을 받아 확정된다.
현재 전북경제는 부끄럽게도 전국 꼴찌이다. 전북경제의 사령탑인 전주 상공회의소 회장은 낙후된 지역 경제를 회복시키는데 누구보다도 앞장서야 하는 막중한 책무를 갖고 있다. 현 집행부는 회장 선거가 잘못된 정치권의 편법 동원 선거처럼 전락되어 회원뿐만 아니라 이를 지켜보는 도민 모두에게 조소와 질타의 대상이 된 것에 대해 책임을 통감하고 순리와 상식의 관점에서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 상공회의소마저 왜곡된 동원과 경선 카르텔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막아내야 한다. 무사안일과 타성에 젖어 이렇다 할 역할을 하지 못했던 전주 상공회의소에 대한 변화와 혁신의 요구의 답을 해야 한다. 더 이상 회장 선거가 편법으로 얼룩지게 해서는 안된다. 송하진 지사도 불필요한 오해를 받지 않기 위해서라도 상공회의소 규약에 따라 정당한 권한 행사를 해야 한다면 즉각적으로 개정안을 승인하여 상공회의소 선거가 더 이상 파행과 편법으로 오염되는 것을 막고 상식적인 수준에서 납득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전주 상공회의소는 이번 사태를 해결하고 선거를 치른 후에는 곧바로 혁신 특위를 가동해서 시대 변화에 맞지 않는 규약을 비롯한 제반 사항을 개정하여 변화와 혁신의 물음에 화답하고 편법이 가능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혹자의 “정치는 4류, 관료는 3류, 기업은 2류”라는 말이 어색하지 않도록 경제인들 스스로 나서 변화를 선도해야 한다. 코로나로 가뜩이나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 더 이상의 파행과 편법은 도민의 외면과 지탄을 받을 수밖에 없다. 공정성과 순리에 입각한 상식적인 전주 상공회의소의 모습을 기대한다. /김영기 객원논설위원·참여자치연대 부패방지시민센터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