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수소 상용차 산업의 글로벌 주도권 잡기에 나선다.
수소 상용차 산업 육성을 위한 용역 추진을 통해 상용화가 가능한 국책사업을 발굴할 예정이다. 현재 초기 단계로 평가받는 수소 상용차 관련 기술 개발을 통해 글로벌 수소 전기차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구상이다.
실제로 미래 전기차 부문 가운데 수소 상용차는 전북도가 선도할 수 있는 영역으로 평가받는다. 이미 도내에 위치한 현대차 전주공장에서 세계 최초로 수소 상용차를 생산해 유럽에 수출하면서, 수소 상용차 기술과 양산 경쟁력을 알린 바 있다. 특히, 전북도가 주력 사업으로 추진하는 탄소 소재 기술이 수소 상용차 수소 저장 탱크 부문과 융합할 경우 수소 상용차 관련 전후방 산업으로 연계가 가능하다.
전북은 수소 상용차뿐 아니라 건설기계나 농기계 등 중대형 모빌리티 분야에 주요 지원 기반시설도 갖추고 있어, 중대형 수소 모빌리티 산업 육성에도 적합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수소 상용차와 수소 건설기계 등 중대형 수소 모빌리티는 시장 형성 초기 단계로, 관련 기술개발 등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국내에서는 현대차가 주도하는 부문으로, 그 가운데에서도 현대차 전주공장이 생산 거점으로 평가받는다. 현대차가 추진하는 수소 상용차 전주공상 양산 계획이나 전략산업 연계 등을 고려할 때도 전북도의 행정적 지원과 맞물린다면 대내·외적 이점이 높게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에 따라 전북도는 전북만의 특화된 수소 상용차 부품 기술개발과 국책사업 발굴, 국가 사업화 추진을 위한 ‘전북 수소 상용차 산업 육성 용역’을 진행한다. 오는 4월까지 한국자동차연구원이 용역을 맡아 추진할 계획으로, 지난 3일 용역 착수 보고가 진행됐다. 앞서 전북도는 연구원과 함께 구체적인 추진 과제와 사업화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해왔다.
구체적 전략 마련에 앞서 국내·외 수소차 산업 현황 및 시장 전망 조사부터 전북 수소 상용차 산업 현주소를 분석하고 전략 분야를 도출할 계획이다. 수소 상용차 부문 생산거점과 산업생태계를 구축하는 방안도 함께 마련한다. 아울러 수소 상용차와 관련된 제품에 대해 시험 평가와 인증을 포함한 종합지원체계 구축 방안을 마련하고, 기업 육성과 인력양성, 핵심부품개발 지원 방안 등에 대해서도 검토할 계획이다.
궁극적으로는, 글로벌 수소전기차 주도권 확보를 위해 세계 최초로 연구개발이 필요한 과제를 발굴하고, 상용화가 가능한 국책사업 발굴을 목표로 한다.
전북도 관계자는 “지난해 말부터 수소 상용차 산업과 관련한 연구개발 과제 발굴을 위해 전문가들과 논의를 이어왔다”며 “도 차원의 과제 발굴에 그치지 않고, 발굴한 사업을 정부에 제안함으로써 국가 정책 사업으로 발전시킬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