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국가를 향한 새만금의 퀀텀점프

양충모 새만금개발청장

양충모 새만금개발청장

지구의 운명은 0.5℃ 차이에 바뀐다. 유엔의‘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에 따르면, 지구의 평균 온도가 2℃ 상승하면 알래스카, 시베리아 등 영구동토층이 녹아 갇혀 있던 온실가스가 대기로 방출되면서 지구온난화가 멈출 수 없을 정도로 가속화된다고 한다. 반면, 상승 온도를 1.5℃ 이내로 막으면 영구동토층을 보전할 수 있다. 현재 산업화 이전 대비 1℃ 상승한 상황에서 세계 주요국은 지구온난화 속도를 늦추기 위해 탄소중립을 앞다퉈 선언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이에 발맞춰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로 선언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2019년 기준 석탄발전 비중이 40%에 이르렀지만 재생에너지 비중은 6.5%에 불과해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가 쉽지는 않다. 따라서 탄소중립 목표달성의 장애물을 뛰어넘을 뜀틀, 즉 퀀텀점프가 필요하다. 재생에너지 발전시설 확충부터 산업, 도시 등 에너지 시스템 전반을 바꿔야 한다. 이를 선도적으로 추진하여 가장 먼저 실현할 수 있는 곳이 바로 새만금이다.

새만금은 광활한 땅에 태양과 바람, 바다 등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풍부한 에너지 자원을 가지고 있다. 현재 수상태양광 중심의 3GW 신·재생에너지 단지와 2.4GW의 서남권 해상풍력 단지가 단계적으로 조성 중이며, 군산 앞바다에도 약 1.5GW 규모의 해상풍력 단지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이외에도 2025년까지 재생에너지 국가종합실증연구단지를 새만금에 구축한다. 이곳에서 재생에너지의 변동성을 완화하기 위한 배터리저장장치, 그린수소와 연료전지 등이 연계된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을 실증할 계획이다. 또한, 재생에너지의 발전효율을 높이고,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기술 등 다양한 연구가 함께 이뤄지는 산·학·연 집적단지도 구축된다.

최근 기업에도 재생에너지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애플, 구글 등 글로벌 기업들이 재생에너지를 100% 사용하는 RE100 캠페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고, 국내에서는 SK그룹이 최초로 RE100에 가입했다.

특히, 글로벌 기업들은 해외 진출, 기업 이미지에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는 RE100 캠페인에 협력업체들도 동참하기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새만금에서는 글로벌 기업들에 저렴한 비용으로 재생에너지 사용이 가능한 RE100 산단을 공급하고자 지난해 말 ’새만금 스마트그린 산단’ 비전 선포와 함께 첫 삽을 떴다.

이와 더불어 새만금은 재생에너지와 그린수소를 주된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스마트그린 도시를 만든다. 이를 위해 그린수소 생산클러스터를 구축하여 그린수소의 생산-저장·운송-활용에 이르는 전 주기에 걸친 그린수소 생태계를 도입한다. 아울러 수소차와 같은 친환경 모빌리티를 위한 충전소를 만들고 도시에 전기, 열을 공급하는 그린수소 발전소도 세운다.

상상할 수 없는 지구의 기후변화에 대비한 상상 이상의 혁신이 새만금에서 실현될 날이 머지않았다. 그러나 목표로 하는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시간이 그리 많지 않다. 미래 에너지 기반의 도시로 탄생할 새만금이라는 퀀텀점프의 도약대가 필요한 이유이다. 지금 새만금에서 시도되고 검증된 에너지 시스템이 대한민국 탄소중립의 모범사례이자 대표모델이 되어 국가 전체로 확산되기를 바란다. /양충모 새만금개발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