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내 인구 유출과 고액부채 증가, 도민의 경제활동 참가율 저조 등의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전북도 차원의 종합대책 마련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2020 전라북도 사회조사 결과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전북은 노령화지수가 증가하고 있고, 청년 인구의 유출 등 생산인구감소에 대한 대응이 시급한 실정이다.
전북도 인구는 지난 2000년 인구 200만이 붕괴한 이후 지속해서 감소하다가 2017년을 기점으로 큰 폭으로 급감하고 있다. 통계청 추계 결과 2047년에는 158만여 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인구 180만 명 선도 올해 상반기에 깨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2019년 기준 전북 인구는 유입보다 유출이 1만2748명 많고, 10대에서 30대 청년층 유출인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미 전북도는 2019년 7월을 기점으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했고, 생산인구 감소에 따른 노년 부양비가 많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잠재적인 사회적 비용을 해소하기 위한 중장기 대안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실제 경제활동인구 비율을 뜻하는 ‘경제활동 참가율’은 전년 대비 증가하긴 했지만, 전국 수치와 비교할 때는 2.3%p 낮은 상황으로, 인구정책과 맞물린 일자리 종합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또한, 도민들의 경제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소득·소비 부문 지표에서도 가계 재정 위기에 대응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도민들의 고액부채는 증가하고 저축률은 낮은 것으로도 나타났다. 2020년 월평균 가구소득은 지난 2018년 대비 전반적으로 증가했지만, 부채가 있다는 응답은 39.3%에 달하면서, 코로나19로 인해 부채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도민들의 월평균 저축률은 57.2%로, 2018년 대비 0.8%p 감소했고, 부채율은 1.5%p 증가했다. 특히, 5000만 원 이상 고액채무자도 2018년(32.5%) 대비 7.4%p 증가한 39.9%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장기화로 도민의 부채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경제적 측면과 아울러 사회·복지 차원까지 고려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한편, 사회조사는 전북도민들의 삶의 질 및 사회구조의 변화를 파악해 관련 지역 정책 개발 및 연구의 기초자료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 지난 2007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