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가 전북에 약속했던 제3금융중심지 조성이 오는 4월 7일 치러질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판과 맞물리면서 정치적 난관에 부딪혔다.
15일 정치권에 따르면 정부의 금융도시 육성정책은 제1금융중심지인 서울과 제2금융중심지인 부산의 인프라를 강화하는 쪽으로 방점이 찍히고 있다. 서울과 부산도 제대로 육성하지 못 한 상황에서 전북 제3금융중심지 조성은 부담이 된다는 논리다.
여기에 선거국면에 접어들면서 서울과 부산을 위한 공약과 계획은 구체화되는 반면 정부여당 입장에서 지지율이 안정적인 전북 내 금융도시 육성논의는 오히려 지난해보다 소극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양상이 계속되고 있다.
전북 금융인프라 조성사업의 가장 기초가 되는 전북금융센터 건립사업조차 내부 이견이 돌출되면서 잡음이 일었고, 전북도와 정치권 스스로가 제3금융중심지 논의를 축소하려는 모습도 연출한 바 있다.
반면 서울시장 보궐선거가 치러지는 서울은 국회의사당을 세종으로 이전하면 그 부지에 세계적 금융타운을 조성하겠다는 게 정부여당의 계획이다.
여의도 서쪽에 있는 국회의사당은 4차 산업혁명 관련 과학·창업 클러스터로, 여의도 동쪽은 홍콩을 대체할 동북아 금융 허브로 각각 조성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여의도-상암-마곡-창동’을 잇는 경제 수도 벨트를 조성하는 게 여당의 구상이다. 이는 줄기차게 전북이 주장해왔던 금융트라이앵글과는 거리가 있다.
부산정치권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부산정치권은 여야가 함께 부산 경제금융특구 특별법 통과를 추진해 지역 금융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같은 목표를 갖고 뛰고 있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은 특별법 처리를 약속했고, 민주당 지도부 역시 비슷한 공약을 내걸었다.
두 곳에 대한 러브콜이 심화되는 만큼 전북은 소외되고 있는데 이는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가 보유한 810조 원 가량의 적립금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셈이다.
연기금 특화 제3금융중심지 건설은 일부 언론과 보수정당의 공격이 무색하게 국민연금 운용 수익률 향상으로 탄력을 받는 듯 보였지만, 정치파워게임에서 밀리면서 논의가 정체돼 있다.
다행히 정치권과 국민연금공단, 전북도의 의지는 그대로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국민연금과 거래하는 하나펀드 서비스가 최근 전주 센터 업무를 시작했고,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이 조만간 전주에 수탁전문사무소를 개설할 예정이다.
잠시 논란이 일었던 전북 금융센터 건립도 차질 없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도시 육성을 1호 공약으로 내걸었던 김성주 의원은 “전주를 서울, 부산과 함께 제3의 금융중심지로 만들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면서 “물론 금융중심지를 만든다는 일이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 우리 내부에서부터 인프라를 잘 조성하고, 정부의 결단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해야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