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비대면 소비가 일상화되면서 재활용폐기물이 크게 증가하는 등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16일 전북도에 따르면 지난해 발생한 재활용폐기물은 160.72t으로 이는 지난 2019년 148.92t보다 11.8t이 증가한 수치다.
코로나19 정국 속 배달음식 등이 늘면서 일회용품 사용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재활용폐기물 문제는 비단 전북만이 아닌 전국적인 현상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환경부가 발표한 자료 ‘생활폐기물 탈 플라스틱 대책’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적으로 택배가 19.8%, 음식배달은 75.1%가량이 늘었으며, 폐플라스틱은 14.6%, 폐비닐 11%가 각각 증가했다.
이에 전북도는 플라스틱 감축·재활용 대책 수립하고 내년까지 생활폐기물 7.4% 감량과 재활용률 49.3% 향상을 목표로 계획을 설정했다.
도는 우선 플라스틱 발생 저감을 위해 플라스틱 컵 없는 거리를 기존 객리단 길에서 전북대 거리로 확대하고, 민간 부분에서의 자발적 1회용품 감축을 유도할 계획이다.
또한 선별·재활용 시설 확충을 위해 공공재활용선별시설을 기계화하는 현대화 사업을 내년까지 완료하고 재활용품 선별력 제고를 위한 선별인력(44명)을 5개 시군에 지원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폐플라스틱 재활용 기반인 플라스틱 열분해 공공처리시설의 설치를 위한 2022년 국비 확보에 적극 대응할 예정이다.
허전 전북도 환경녹지국장은 “과제별 세부사업 추진에 최선을 다하고 이후에도 시군과 협업해 전북 현실에 맞는 특색있는 탈 플라스틱 사회 정착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