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 도심의 등록문화재 건물 지하에 추정가액 1400억원 상당의 금괴가 묻혀 있다는 매장설과 관련, 현재 익산시가 진행 중인 문화재 정비사업 공사에 참여해 본격 채굴에 나선다는 등 구체적인 발굴 시나리오까지 떠돌고 있어 익산경찰과 익산시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최근 익산지역에는 지난 2012년 6월 대구 동화사 대웅전 금괴 소동의 당사자인 탈북민 A씨를 비롯한 몇몇이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돼 있는 주현동 구 일본인 농장 사무실의 창고 지하에 금괴 2톤이 묻혀 있다며 발굴을 위해 시기와 방법 등을 모색하고 있다는 소문이 파다하다.
해당 건물은 현재 익산시 소유로, 시는 지난해부터 ‘익산 솜리근대역사문화공간 조성사업’ 일환으로 국가등록문화재 보수 및 매입, 전시 및 체험관 조성 등을 추진 중이다.
문제의 주현동 구 일본인 농장 사무실 및 창고의 경우 현재 리모델링 계획 설계가 진행 중이며, 오는 4~5월 리모델링 공사가 본격 시작될 예정이다.
이런 와중에 지역사회 안팎에선 금괴 매장설이 나돌기 시작했고, 최근에는 여기에 더해 탈북민 등 몇몇이 익산시가 진행 중인 문화재 정비사업 공사를 틈타 채굴을 하려 한다는 구체적인 발굴 시나리오까지 흘러나오고 있다.
탈북민 등 몇몇이 주현동 구 일본인 농장에 들어섰던 화교소학교 폐교 후 해당 부지 매입·임대를 모색했으나 실패에 그치자, 별도의 건설업체를 매입해 리모델링 공사를 낙찰 받은 후 매장 금괴를 채굴하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했다는게 현재 떠돌고 있는 소문의 내용이다.
경찰 관계자는 “금괴 매장설을 둘러싼 이런저런 얘기와 소문이 익산 지역사회에 급속 확산되면서 크게 술렁거리는 분위기”라며 “자칫 강력사건이나 각종 불법행위로 이어질 수 있기에, 발굴 관련 움직임을 계속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익산시는 8일 오후 해당 부지 내에 출입금지 안내문을 부착하는 한편, 리모델링 공사 업체 선정에 신중을 기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시 관계자는 “해당 부지와 건물은 1948년 익산 화교협회가 매입한 후 학교를 운영해 왔으며 2000년대 초반부터는 학교가 폐교되면서 방치돼 왔기 때문에 매장설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고 판단되지만, 그래도 불측의 사고나 내부 훼손 등을 방지하기 위해 출입금지 현수막과 안내문을 부착했다”면서 “기본적으로 문화재 정비사업은 관련 자격을 가지고 있는 업체만 참여할 수 있는데,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 업체 선정 과정을 면밀히 살피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시가 직접 금괴 여부를 탐지하는 것은 예산 투입과 문화재 훼손 측면에서 검토 중인 단계”라고 덧붙였다.
한편 민법에 따르면 매장물은 법률에 정한 바에 의해 공고한 후 1년 내에 그 소유자가 권리를 주장하지 않으면 발견자가 그 소유권을 취득한다. 다만 타인의 토지 기타 물건으로부터 발견한 매장물은 그 토지 기타 물건의 소유자와 발견자가 절반해 취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