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단지 대개조 공모 선정에 적극 나서라

전라북도가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은 미래형 상용 모빌리티 거점 조성을 위해선 정부에서 추진하는 산업단지 대개조 공모사업 선정에 전북도와 정치권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지난해 5월 1차 산업단지 대개조 공모사업 때 준비 부족과 정치권의 협력 부재로 탈락했던 실패를 반복하지 않도록 치밀하고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산업단지 대개조 공모사업은 제조업 중심의 산업단지를 지역산업 혁신거점으로 집중 지원하는 지역 일자리 창출 프로젝트다. 광역 자치단체가 주력산업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역 내 거점 산업단지를 허브로 하고 연계 산업단지 또는 도심 지역을 묶어 산업단지 혁신 계획을 수립하게 되면 정부가 매년 평가를 통해 5곳을 선정해 집중 육성·지원하는 중앙-지방 협력형 사업이다.

전북은 군산 국가산업단지를 거점으로 익산 제2 일반산업단지와 완주 과학산업단지, 새만금 국가산업단지 등 4개 산업단지를 연계한 미래형 상용 모빌리티 거점조성을 구축할 계획이다. 현재 자동차산업은 내연기관 중심에서 전기차나 수소차로 급변하는 상황인 만큼 전라북도도 미래상용차 생태계 조성에 방점을 찍었다. 특히 전북은 탄소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로 선정돼 미래형 상용 모빌리티 거점으로 산업단지 대개조 사업이 진행되면 탄소산업과의 시너지효과도 기대된다.

하지만 지난해 5월 1차 공모 때 전북은 타당성과 경제성 부족을 이유로 제외되고 말았다. 총선 정국에 있던 전북 정치권도 산업단지 대개조 공모사업에 뒷짐만 진 결과가 아닐 수 없다.

이번 2차 산업단지 대개조 공모에도 타 지역은 정치권과 함께 적극 대응하고 나섰다. 경기도는 테스크포스팀을 꾸리고 지역구 국회의원과 함께 공조체제를 구축하면서 선정작업에 힘쓰고 있다. 경북 울산 등도 자치단체와 정치권, 그리고 기업과 대학 등이 함께 나서서 연합전선을 펼치고 있다.

다음 주 정부의 선정 발표를 앞두고 전북도와 정치권은 막바지 총력전에 나서야 한다. 올해도 산업단지 대개조 공모에서 탈락하면 전북의 미래성장동력인 상용 모빌리티 거점 구축은 늦어질 수밖에 없는 만큼 전북발전의 명운을 걸고 힘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