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이 수소용품 검사지원센터 최종후보지로 확정되면서 전북 탄소 산업과 수소 산업을 결합한 투트랙 전략이 요구된다.
그간 전북에서 수소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해 다양한 수소 산업들을 준비해온 만큼 이번 센터 유치는 지난 2019년 이후 시작된 전북 수소 산업의 중추적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된다. 전북의 미래산업으로 꼽히는 새만금 재생에너지+탄소산업+수소산업이 결합하면서 전국 그 어느도시보다도 그린뉴딜 선도 도시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보인다.
△ 전북 수소산업 현 주소는?
그간 전북은 수소저장용기 생산 기업과 국내 유일의 친환경 상용차 생산 기업, 국내 가정용·발전용 연료전지 기업 등 다양한 수소 관련 기업들이 진영을 구축하고 있다.
또 국내 최고 수준의 연료전지 분야 연구기관인 한국에너지 기술연구원 산학협력센터와 우석대 수소연료전지 부품 및 응용기술지역혁신센터 등 우수한 연구 인프라도 갖췄다.
이러한 수소 관련 산업과 연구를 보다 실증으로 이어지게 하기 위해 전북도는 정부 수소시범도시사업에 공모해 성공했고, 현재 수소시범도시 구축을 위한 상세설계 및 행정 인허가 절차가 진행 중이다.
또 새만금 지역에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수소 생산 및 이송활용 체계 구축에 따른 그린수소 생산 클러스터 구축 공모에 도전해 현재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 선정을 기다리고 있다.
이 밖에도 국내 최대 규모의 수소충전소 보급소와 수소 상용차 실용화 등에도 적극 추진되면서 지난 2019년 이후 수소 산업에 첫 발을 내딛은 전북의 수소 산업는 빠르게 미래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 수소 ‘생산과 수요’ 두마리 토끼잡기가 관건
세계적으로 기후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탄조를 줄여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이에 정부도 205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여나가겠다는 의미의 2050탄소중립을 선언했고, 국내에서도 신재생에너지 분야가 주목받기 시작했다.
특히 수소에너지는 석유나 석탄을 대체하는 데 효과적이며 동시에 물을 이용해 생산한다는 점에서 환경 오염이 발생하지 않아 미래 청정에너지로 불린다.
하지만 여전히 수소에너지 생산을 위해서는 고비용이 들어간다는 점과 생산시설이 부족한 점이 수소에너지의 가격 경쟁력을 뒤떨어지게 하고 있다.
또한 생산된 수소에너지를 소비할 수 있는 곳은 현재 상용차 외에는 없다는 점도 수소에너지 생산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자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수소 에너지를 활성하기 위해서는 생산과 수요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 한다는 분석이다.
홍석호 전북도 수소산업팀장은 “그린수소 생산 클러스터를 통해 대규모 수소를 생산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생산 단가를 낮추기 위한 R&D개발에 힘쓸 계획”이라면서 “다양한 수소모빌리티 산업 선점과 수소연료전지 보급 및 도내 수소에너지 수요 확충에 나서 전북을 수소 산업의 중점 도시로 탈바꿈에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