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안 해상풍력발전 기자재의 원활한 해상 운송을 위해선 현재 추진 중인 야적장 조성뿐만 아니라 중량물 부두 건설이 동시에 진행돼야 마땅하다. 중량물 전용 부두가 건설되지 않으면 해상풍력발전 기자재를 지역에서 조립, 야적한다 해도 물류비용 부담 증가 등 비효율성 문제가 제기되기 때문이다.
정부의 그린 뉴딜정책으로 전북권에 조성되는 해상풍력발전단지 건설계획은 서남권 2.4GW를 비롯해 새만금 0.1GW, 어청도 2GW, 고군산 0.1GW, 고창 0.07GW, EEZ 4GW 등 총 8.67GW 규모에 달한다. 특히 현재 진행 중인 서남권 해상풍력단지 2.4GW의 적기 추진을 위해서는 해상풍력기자재의 해상운송을 전담할 중량물 부두 구축이 시급하다.
하지만 군산항에는 총사업비 440억 원을 들여 2024년까지 7부두 준설토 투기장 40만㎡에 야적장 조성 계획만 추진되고 있다. 군산해양수산청은 이를 위해 올해 기본 설계 및 실시설계 예산으로 17억 원을 책정하고 연말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문제는 수십~수백t씩에 달하는 해상풍력발전 기자재를 야적장에서 조립하고 보관해놓아도 중량물 전용 부두가 없으면 풍력발전기를 세울 해상으로 운송할 수 없게 된다. 이렇게 되면 풍력발전 기자재를 다른 중량물 운송 부두까지 다시 이송해야 하기 때문에 막대한 운송비용이 추가된다. 더욱이 해상풍력 발전이 지구온난화 막을 대체에너지로 각광을 받으면서 기자재 생산업체들이 수출까지 구상하는 마당에 해상운송이 불가능한 야적장 조성은 사실상 필요성을 상실하게 된다. 때문에 해상풍력 기자재 생산업체들이 물류비용 부담을 줄이려 아예 다른 지역으로 이전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군산항에 해상풍력발전 기자재 야적장 조성뿐만 아니라 해상 운송을 위한 중량물 부두 건설도 함께 추진돼야 한다. 부두 없는 야적장 조성은 무용지물이 될 수밖에 없다. 이럴 경우 국민 세금만 낭비하는 꼴이 된다. 또한 중량물 부두가 군산항에 건설되면 서해안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사업의 원활한 추진과 함께 갈수록 쇠락해가는 군산항이 특화 항만으로서 새롭게 거듭날 수 있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