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청년 문화예술인들이 전북문화관광재단의 중앙 공모사업 이의제기 사태와 관련해 공개 사과를 요구하고 나선 가운데 기성 문화예술인들이 힘을 보태겠다며 목소리를 내고 나섰다.
한국예총 전북연합회(이하 전북예총) 대외정책위원회는 30일 “지난 29일 도내 청년 문화예술단체 30곳이 전북문화관광재단을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를 보며 지역 문화예술계에서 오랜 기간 활동해온 원로이자 선배 단체로서 안타깝고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며 “이번 일을 포함해 재단의 각종 지원금 심사 문제 등 잘못된 점을 바로잡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처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북예총 대외정책위원회 이석규 회장은 “전북예총에서는 재단의 각종 지원금 심사 불공정성에 대해 문제를 제기해왔으나, 개선이나 시정 조치는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해 전북예총은 집회 신고까지 할 정도로 사안을 엄중히 바라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동안 전북예총은 지역문화예술육성지원사업(옛 문진금)과 관련해 지원단체에 대한 유사단체 검증, 단체와 개인간 이중구조 파악, 심사위원 선정 공정성 확보 등을 요구해왔다. 또 전북예총은 문화예술단체와의 공론화 과정을 거치지 않은 채, 올해 지역문화예술육성지원사업 선정 규정 변경을 시도한 일에 대해서도 ‘밀실 행정’이라며 비판했다.
이 회장은 “재단은 예술인을 위해 존재하는 곳이다. 일련의 상황은 재단이 설립되기 이전보다 더 혼란스러운 상황”이라며 “이제라도 재단이 설립 취지와 본질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같은 날 전북작가회의도 지역문화예술육성지원사업의 심사 결과에 문제를 제기하며 지원금 수령을 거부한다고 밝혔다.
전북작가회의는 “재단은 도 예산과 공적 기금을 집행하는 기관으로 그 집행 대상을 선정하는 데 있어 객관적이고 공정한 절차는 기본적인 선결 조건이다. 그러나 이번 선정 결과는 의문을 품지 않을 수 없다”며 사업의 지원 금액 결정, 심사위원 선정 문제를 지적했다.
이들은 우수한 평점에도 예산이 70% 감액된 것을 납득할 수 없다고 밝혔다. 지원 금액 결정에 대한 심사 기준은 공모 요강에 따로 적시되지 않았다. 또 심사위원 구성과 관련해 진보문학계 인사가 배제됐다는 것도 언급했다.
이와 관련 전북작가회의는 재단의 사과와 지원금 수령 거부에 대한 해결책 제시, 재발 방지를 위한 심사 규정과 심사위원 배정에 대한 근본적인 개혁 방안 마련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