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가 수탈을 목적으로 군산의 경제상황을 상세히 파악한 사실을 제시한 책이 나왔다.
중앙대 오일환 겸임교수가 펴낸 <강제병합 이전의 전라북도 및 군산지역 상황> (전북연구원)이다. 강제병합>
이 책은 일제가 식민통치의 기본 자료로 쓴 문서 3개를 번역하고 제시했다. 일본 영사관 분관과 이사청 소속 관헌이 전북과 군산을 답사하고 작성한 ‘군산이사청 관내상황’(1910)과 목포영사관 군산 분관이 일본 외무대신에게 보낸 보고서인 ‘군산사정’(1905), ‘전라도 북부 상황’(1900)이다.
자료는 군산의 지세와 의식주, 무역, 사업, 시장, 금융, 교통, 교육, 종교, 공동단체 등 많은 현황을 망라하고 있다.
특히 일본인이 주목할 사업으로 한지 제조, 전답의 매매, 농기구 제조를 목적으로 하는 철공업 등을 제시했는데, 이는 일본이 국권침탈 이전부터 군산에 상당히 관심을 가진 사실을 방증한다.
김선기 전북연구원장은 “군산은 일본인들의 주목을 받아 도시가 확대되는 동시에 수탈의 창구로 기능했다”며“이 책은 일제가 일찍부터 군산을 주목할 수 밖에 없던 이유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오 교수는 한국외대 일본어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정치학 석·박사과정을 수료했으며, 일본 스꾸바대학 대학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일제 말기 경성지역의 강제동원과 일상> (공저), <책임과 변명의 인질극, 사할린 한인문제를 둘러싼 한·러·일 3국의 외교협상> (공저), <강제동원을 말하다: 일제강점기 조선인 피징용노무자 미수금 문제> (공저) 등이 있다. 강제동원을> 책임과> 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