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캠퍼스 혁신파크사업 남의 일인가

전북대가 ‘캠퍼스 혁신파크 공모사업’에서 다시 고배를 들었다. 전북대는 2019년에 이어 이번 2차 공모사업에 도전했으나 또 탈락했다. 전국 23개 대학이 응모한 이번 2차 사업에 경북대와 전남대가 최종 선정됐다. 지역경제와 대학을 일으킬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살리지 못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크다.

‘캠퍼스 혁신파크사업’은 정부가 대학 유휴부지에 도시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대학의 입지적 장점과 혁신역량을 적극 활용해 대학을 새로운 지역혁신성장의 거점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기획됐다. 대학 캠퍼스에 창업부터 기업경영까지 가능한 공간을 제공해 일자리창출로 이어질 수 있게 정부 지원이 이뤄진다. 전북대만이 아닌 전북경제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사업이라는 점에서 기대를 갖고 관심 있게 지켜봤으나 결과는 역시나 들러리로 끝났다.

전북대가 사업에 선정되지 못한 건 기본적으로 자체 역량 문제다. 정부는 도시첨단산업단지 개발 타당성, 대학의 사업추진 역량, 향후 기업유치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대상 대학을 선정했다. 전북대는 농생명산업을 중심으로 한 계획을 제안서에 담았다. 그러나 1차 관문인 서면평가에서 탈락한 걸 보면 구체적 실행을 담보할 계획부터 부실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

여기에 자치단체와 지역 정치권의 역할 미흡도 짚고 넘어갈 문제다. 1차 공모 때와 달리 이번 2차 공모에서 전북도와 전주시가 각각 40억원씩 지원 약속을 하는 등 나름 관심과 노력을 기울였다고는 하나 진정성 있게 협력을 했는지 살펴볼 일이다. 특히 광주·전남 국회의원들도 대학 총장과 함께 ‘원팀’을 이뤄 관련 부처를 찾아다니며 협의하고 설득한 데 비해 전북 정치권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전북은 인구 180만명 선이 무너질 정도로 인구 감소가 심각하고 올 신입생 정원에 크게 미달한 대학이 속출하면서 지방대 소멸 위기도 체감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전북이 안고 있는 이런 문제를 완화시키는 데 선순환 역할을 할 수 있는 게 대학 캠퍼스혁신파크 사업이라고 본다. 올 3차 공모가 남아 있다 하니 다음 공모에서는 전북대가 꼭 선정될 수 있도록 대학 측의 치밀한 준비와 지역 정치권의 적극적 역할이 따라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