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효자동·서신동 일대 경로당에서 주먹구구식 ‘안심카메라 설치 사업’이 진행돼 논란이다.
주민참여예산 사업이지만 정작 경로당 회장 등 주민은 모르고 있던 사안인 데다, 업체 선정을 하기 전에 서울에서 온 특정 업체가 경로당을 돌며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드러났다.
13일 완산구청 등에 따르면 전주시는 효자2·3동·서신동 일대 경로당 안심카메라 설치 사업을 올해 주민참여예산사업에 반영했다. 어르신들이 예기치 못한 사고를 당할 것을 대비해 감시 사각지대를 없앴다는 취지로, 해당 지역 40개 경로당에 5240만 원 예산이 배정됐다.
문제는 예산배정 후 설치까지의 과정이 주민은 배제된 채 일방적으로 진행됐다는 점이다.
상당수 경로당 회장이 해당 사업의 여부를 설치계약을 맺으러 온 특정업체가 방문한 뒤에야 알게 됐다.
서울에 사무실을 둔 보안용카메라 A제조업체 관계자는 지난달 말부터 이달 초 효자2·3동·서신동 경로당 40곳을 돌며 경로당 회장들을 만났다. 카메라 설치 계약을 하기 위해서다.
한 경로당 회장은 “A업체에서 물품구매표준계약서와 견적서를 들고 전주시 사업으로 카메라설치를 하러 왔다고 했다”며 “여성회원들은 사생활 문제로 방안에 카메라 설치하는 것을 반대하고 있다”고 했다.
효자3동 13개 경로당 회장들은 동 관계자들과 긴급회의를 열고 원하지 않는 곳은 안심카메라설치를 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더 크게 지적되는 부분은 A업체의 방문계약이다.
경로당 회장들은 “해당업체가 시와 계약을 맺고 사업을 맡아, A업체와 계약을 해야 하는 줄 알았다”고 했다.
이 사업은 각 경로당이 업체를 선정해 계약을 체결하는 것이지만, 행정에서 공지가 없어 방문한 관계자들의 설명에만 의존했다는 게 회장들의 설명이다.
완산구청에 따르면 경로당 40개소 중 31개소가 해당업체와 우선 계약을 맺었다. 뒤늦게 사실을 안 2개소는 타 업체와 계약을 맺었고, 7개소는 설치를 취소했다.
이와 관련 A업체는 “동사무소에 제품을 홍보했더니 연락을 줘서 견적을 보내줬다. 한 달 뒤 문의하니 ‘사업을 하시려면 각 경로당을 돌면서 계약을 체결해야 한다’고 해 한 것 뿐이고, 계약을 원하지 않을 경우엔 설치하지 않도록 자율에 맡겼다. 또 우리 상품은 조달청에 특허등록된 기계로 성능이 다르다”고 말했다.
반면, 지역구 주민센터·완산구청 등은 A업체는 견적만 문의했을 뿐이며, 각 경로당을 방문한 사실도 알지 못 했다는 입장이다.
동 관계자는 “업체계약은 각 경로당에 자유롭게 맡겼으나, 다만 사업 보조금 입금 공지는 코로나19로 경로당이 폐쇄된 탓에 전달되지 못한 것 같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