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지역 장애인들의 일자리 확대를 위해 중증장애인 생산품 생산시설 확충 및 기업과 연계한 발달장애인 고용 사업을 발굴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지난 16일 열린 ‘전주시 장애인 일자리 종합계획 수립 용역’ 중간보고회에서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인재 책임연구원은 “장애인들의 고용을 늘리기 위해 직업재활시설 등 중증장애인 생산품 생산시설을 확대하고, 이를 위해 지자체에서는 해당 시설이 중증장애인 생산품 생산시설로 지정받을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공공과 민간 영역의 장애인 일자리 개발을 확대하고 코로나19 등 긴급한 상황에 대응하는 일자리 지원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와 함께 장애인 일자리 네트워크를 전반적으로 강화하고, 탄소와 문화 분야 특화일자리를 창출할 필요성이 있다는 의견도 제시됐으며, 발달장애인들의 취업을 돕기 위해 기업 연계를 통한 사업이 필요하다는 방안도 모색됐다.
시는 이 같은 방안들을 구체화해 오는 6월중 최종보고회를 가진 뒤 ‘4개년 전주시 장애인 일자리 종합계획 및 연도별 실행과제’를 수립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용역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해 장애인의 경제적 자립을 강화할 수 있는 정책 및 세부 추진과제들을 마련할 것”이라면서 “일자리 정책의 양적 확대 및 질적 수준 제고를 통해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장애인 일자리를 확보해 나감으로써 ‘장애인의 삶을 바꾸는 첫 번째 도시 전주’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장애인의 고용 활성화 및 일자리 만족도를 높여 자립할 수 있는 환경을 보장하기 위해 추진되는 이번 용역은 오는 6월까지 수행된다. 용역은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