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동 전주시의원 “포스트 코로나 대비 치유농업 기반 조성을”

시에 맞춤형 전략 수립 필요성 강조…도농복합형 치유농업 전략 수립도

이기동 의원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고, 시민들의 건강 증진을 위해 전주시가 치유농업 활성화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치유농업은 농업·농촌 자원을 이용해 다양한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국민 건강 증진을 도모하자는 취지에서 시행하고 있는데, 전주시도 지난해 국회의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제정, 타 시·도의 사업 추진과 발맞춰 올해 원예치유상담실 등 8000만 원 규모의 치유농업 육성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기동 전주시의원(중앙, 완산, 중화산1·2동)은 19일 열린 제380회 임시회 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전주시의 여건을 고려한 맞춤형 치유농업 전략 수립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의원은 “최근 신설한 농진청 치유농업추진단과의 기관협력 체계를 마련하고, 현장 적용 연구 시 전주시에 우선 배정을 적극 협의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외 치유농업 현황과 사례 검토를 통해 시의 농업 환경과 여건을 비교·검토하는 노력이 요구되며, 민간 주도로 진행하고 있는 주말농장과, 학교·도시빌딩·공동주택 텃밭 등 추진 사례들을 접목할 수 있는 도시형 치유 농업 모델에 관한 검토를 통해 전주 도농복합형 치유농업 전략 수립에 집중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이 의원은 선도적 거버넌스 체계 구축 마련 필요성과 농업·농촌 규모와 수요층이 연계될 수 있는 체험·치유농장의 신규 육성 사업에 시 차원의 적극적인 투자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