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가 국비를 지원받아 진행 중인 ‘청암산 생태체험센터 조성사업’이 방향을 잃고 표류될 위기에 처해 있다.
특히 사업과정에서 확정된 부지를 손바닥 뒤집듯 번복하는 모습을 보여 ‘졸속행정’이라는 비판까지 나오고 있다.
군산시에 따르면 오는 2023년까지 총 26억 원을 들여 청암산 입구(옥산리 818-12)에 전시·체험학습실을 갖춘 생태체험센터를 조성할 계획이었다.
이 사업은 방문객에 대한 안내·생태교육·체험공간을 제공해 생태관광 활성화 및 주민소득 증대에 기여하기 위해 추진됐다.
그 동안 시는 주민의견 수렴 및 전문가 컨설팅은 물론 기본·실시설계 용역을 마치고 지난해 12월 공사에 들어갔다.
원활하게 진행될 것 같았던 이 사업은 올 초 지역 주민들이 건축 위치 및 규모 등 변경을 요구하면서 현재는 멈춰진 상태다.
지난 2019년 사업이 시작할 당시, 주민들은 현 부지에 대해 동의한 바 있지만, 이후 조망권이 나은 인근 옛 수도과 관사부지로 옮겨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설계비와 기반공사로 4억 원 정도의 예산이 소요됐지만 시는 이 같은 주민들의 의견을 받아들여 공사 중단 및 건축허가를 취소하고 다시 (센터 건립)변경계획을 수립했다.
이에 따라 전체 사업 예산도 26억 원에서 35억 원으로 증액됐고, 시비 역시 당초 5억 원에서 20억 원으로 늘어났다.
그러나 군산시의회 임시회에서 새 이전 부지에 대한 공유재산관리계획 동의안이 통과되지 못하면서 이 사업이 진퇴양난에 빠진 상황이다.
무엇보다 시의 오락가락한 행정으로 사업에 대한 혼란은 물론 자칫 무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올해 말까지 착공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국비와 도비 등 16억 원의 예산을 반납해야 하기 때문이다.
변경된 공유재산관리계획 동의안을 부결시킨 시의회도 황당하다는 반응이다.
한 시의원은 “부지를 변경할 경우 설계용역비 등 이미 쓴 예산은 허무하게 공중으로 날라 가는 것”이라며 “이는 엄연한 예산 낭비”라고 지적했다.
이어 “과거 주민의견 수렴도 거쳤고 공사까지 들어간 이 사업을 중간에 변경한다는 것 자체가 바람직하지 않다”며 “방향성·일관성 등이 없는 집행부의 행정이 아쉽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과거 현 부지에 대한 주민들의 동의를 얻었지만 이후 센터 부지를 옮겨야 한다는 주민들의 의견이 강하다보니 설득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며 “센터 운영에 주민 참여가 필수인 만큼 결국 관계부서들과 협의를 통해 사업장소와 규모를 변경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청암산 에코라운드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받은 균특과 도비가 반납되지 않도록 생태체험센터를 대신할 다른 사업을 찾을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