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 혁신을 통해 미래학교 모델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 전주교대 부설초가 ‘이달의 한국판뉴딜’ 사례에 선정됐다.
정부는 29일 전주교대 부설초의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와 디지털·신기술 전문 인력 양성 기관 ㈜멋쟁이사자처럼, 나영준 ㈜앤틀러 대표이사, 해상풍력 상생 모델 제주시 한경면 두모리·금등리 등 4개 사례가 4월 ‘이달의 한국판뉴딜’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달의 한국판뉴딜’은 교육부 등 한국판뉴딜 사업을 추진하는 9개 중앙부처의 후보 추천 후 심사위원단의 평가를 통해 선정된다.
전주교대 부설초는 전주 지역의 특성인 한옥마을을 학교에 반영한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대표 사례로 꼽혔다.
먼저, 소규모 협동 학습, 프로젝트 수업, 토의·토론 등 교수·학습 방식을 학생 중심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재구성했으며, 교실의 문을 창호로 제작해 공간 간 소통을 강화하는 등 공간에 한옥 디자인을 접목했다.
또한 교실에는 정형화된 가구 대신 수납형, 육각형·마름모형 등 다양한 모양의 가구를 배치해 수업 방식에 따라 공간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교사연구실 또한 모둠회의뿐만 아니라 각자의 공간에서 원격수업 등 개인적인 작업도 할 수 있도록 했으며, 특히 공간과 공간을 이어주는 복도가 아이들의 쉼터가 될 수 있도록 배려하는 등 전체적으로 한옥의 아름다움을 살렸다는 평을 받았다.
심사위원 석노기 장인은 “지역의 특성을 반영해 학교를 새로운 학습공간으로 재구성했다”면서 “이러한 변화는 학생들에게도 좋은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3월 ‘이달의 한국판뉴딜’에는 최소잔여형(LDS) 백신주사기 생산에 성공한 군산 소재 ㈜풍림파마텍 직원 10명과 ‘닥터앤서’ 개발팀 김종재 서울아산병원 아산생명과학연구원장 등이 선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