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나 고양이 등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인구가 많이 늘어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실시한 ‘2020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반려동물 양육률은 전체 응답자의 27.7%로 나타났다. 전국 가구 수 대비로 보면 약 638만 가구가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으로 추정된다. 반려견이 521만 가구에서 602만 마리, 반려묘는 182만 가구에서 258만 마리 정도다. 이처럼 반려동물 인구가 늘면서 길거리나 공원 등지에서 반려견과 함께 산책하는 사람들을 흔히 볼 수 있다.
반려동물 관련 산업도 급성장하고 있다. 반려동물 관련 용품을 비롯해 펫 카페 펫 호텔 펫 케어서비스 등 다양한 상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심지어 펫 파크나 펫 그라운드를 갖춘 반려견 맞춤형 주택단지도 분양하고 있다. 국내 반려동물 관련 시장 규모는 지난 2015년 1조8000억 원에서 지난해 5조8000억 원 규모로 성장했으며 올해에는 6조 원이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반려동물로 인한 민원도 급증하고 있다. 공동주택에서 소음과 냄새 등으로 이웃간 불화의 원인이 되면서 심각한 갈등과 피해를 낳기도 한다. 결국 이러한 문제는 동물 유기로 이어지면서 또 다른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반려동물도 사람과 마찬가지로 집 안에만 있으면 스트레스가 쌓이고 심각해지면 계속 짖거나 사람을 무는 등 성격이 포악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걷기나 산책 등을 해줘야 하지만 주위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는 게 현실이다.
정부와 자치단체가 반려동물 인구 1000만 명 시대를 맞아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힐링 여행을 주선하고 나섰다. 사람과 동물이 공생하는 환경 조성과 동물복지 증진을 위해 안심 걷기 길(일명 눈치보지 마시개 길) 조성을 추진한다.
전북도와 한국관광공사, 그리고 전북관광업계도 최근 반려동물 동반 여행 기반 조성과 관광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가졌다. 앞서 한국관광공사는 전라북도를 2021년 반려동물 동반 여행 시범 선도지역으로 지정했다. 새만금 바람길과 남원 요천생태습지공원 애견놀이터, 완주 경천애인 징검다리길, 임실 오수의견 관광지, 진안 운일암반일암 숲길, 순창 섬진강 예향천리마실길 등 6곳을 반려견 동반 안심 걷기 길로 선정했다. 섬진강 발원지인 진안 데미샘 자연휴양림에는 반려동물 전용 객실도 마련됐고 오수의견 관광지에는 반려동물 캠핑장과 추모공원도 운영한다. 누구나 편하게 찾을 수 있도록 지정한 반려동물 동반 여행지이지만 서로 페티켓을 잘 지켜야만 다시 찾을 수 있는 여행지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