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중·전주교육지원청 부지 활용’ 도시계획 큰 틀에서 협치 필요

전라중 에코시티 이전 성사 위해 시에 부지 공매 전제 요청
도교육청, 전라중 아닌 전주교육청 부지 매입 제안
전문가 “도시개발 계획에 맞지 않아” 비판 제기

새 부지로 이전 예정인 ‘전라중학교 부지’·‘전주교육지원청 부지’ 활용을 놓고 전북교육청과 전주시가 전주 도시계획 큰 틀에서 장기적인 권역별 개발 방향을 고려해 협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5일 전북교육청 등에 따르면 종합경기장 인근에 있던 전라중학교가 전주에코시티로 옮긴다.

그동안 신도심인 에코시티는 1만 200여 세대가 들어섰음에도 중학교가 화정중 1곳뿐이어서 추가 신설 요구가 거셌다. 전북교육청이 2018년부터 전라중 이전을 5차례 추진했지만, 번번이 교육부 중투심사를 통과하지 못했다.

이에 전북교육청은 최근 중투심사를 앞두고 전주시와 전라중 이전에 따라 발생하는 유휴부지 관련 공매 협의를 나눴다. 타 지역의 학교 이전 성공 사례의 경우 이전 후 남은 부지를 일반매각 대신 자치단체가 공매하기로 해 공공성을 높였기 때문이다. 전북교육청도 전북도·전주시 등에 이를 논의요청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중 전주시가 ‘신도심 학교 조성’이라는 오랜 민원을 해결 하고자 협조하기로 했다.

시민 숙원 해결을 위한 위한 양 기관의 부지 매입 협의를 두고선 긍정적인 반응이 크지만, 문제제기는 전북교육청이 공매 예정인 부지가 이전 대상지인 전라중 부지가 아니라 전주교육지원청 부지라는 점에서 비롯된다.

전북교육청 측은 “전주교육지원청이 노후하고 협소해 기존 전라중 건물과 부지에 전주교육지원청과 모든 학생지원시설을 집약할 것”이라며, “전주시에 전주교육청 부지를 96억 원에 매각할 예정”이라고 했다.

그러나 이는 도시개발 계획 큰 틀에서 맞지 않는다는 비판이 나온다.

현재 전라중 바로 옆에 위치한 종합경기장 부지는 전주시가 대규모 도시재생 사업 ‘시민의 숲 1963’을 진행하고 있다. 대규모 시민 숲공원을 기반으로 컨벤션과 호텔 등 상업시설, 미술관과 한문화원형 콘텐츠 체험·전시관 등 문화시설이 들어설 예정으로, 해당 일대는 전주역에서 시작되는 첫마중길에 이어 옛 법원·검찰부지까지 전주시 권역별 도시계획을 잇는 거점이다.

해당 권역은 청년, ICT, 문화, 교통 등 전주시·국가 행정계획상 다양한 사업이 계획돼 있어 기존 사업부지도 부족한 실정이다. 이 가운데 전주지역 교육시설이 함께 집적화될 경우 인근 개발계획과의 연계성과 교육거점 효과 면에서 타당성이 높을 지 의문이 나온다.

전북교육청은 전주교육지원청 건물·주차장 협소와 건물 노후를 이유로 들고 있지만, 애초에 전라중 일대로 옮기는 사업 역시 학교건물 리모델링과 건물 신축 사업인 데다 주변환경이 과밀한 것은 마찬가지인 상황이다. 본래 전주교육지원청 자리는 학생·학부모들을 위한 전북교육문화회관이 인접해 교육시설 집약 효과가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 전북교육청과 전주시 등 양 행정이 기관 이전과 부지 매입을 놓고 긴밀한 협의가 강조되고 있다.

전대성 전주대 행정학과 교수는 “양 행정기관 모두 전주시민을 위해 정책과 사업을 펼치고, 특히 공공기관 서비스는 행정 편의성·연계성과 시민 접근성이 중요한 만큼 개별 행정으로 효율성을 떨어뜨려선 안 된다. 이는 전형적인 소극 행정”이라며, “백년대계인 도시계획, 학생교육은 장기적 관점에서 시민을 위한 최적안을 함께 도출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