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13일 박준영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이 자진 사퇴한 것과 관련해 “이를 계기로 국회 청문절차가 신속하게 완료되기를 희망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박 후보자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논란이 공직 후보자로서의 높은 도덕성을 기대하는 국민의 눈높이에 맞지 않았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면서 “해수부 장관 후보자로서의 짐을 내려놓고자 한다”며 자진 사퇴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청와대와의 사전 교감을 묻는 질문에 “박 후보자는 청와대와 소통하는 과정에서 자진 사퇴 결론을 내렸다”며 “국민 여론, 국회·여당의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한 결과”라고 말했다.
이어 “나머지 청문절차를 기다리고 있는 국무총리 후보자 이하 분들에 대해선 국회가 신속하게 마무리를 해주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는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선 임명 절차를 밟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 관계자는 ‘만약 내일(14일) 청문보고서가 재송부되지 않으면 임명 강행 수순을 밟는 것이냐’는 질문에 “청문보고서 재송부 기한이 정해지면 더 연장이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더불어 그는 “대통령은 직접 지명한 3명의 장관 후보자에 대해 상당한 애정이 있다”며 “하지만 여론의 평가와 국회 청문절차를 모두 거쳐 최종 판단하겠다는 원칙을 갖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통령은 특별연설을 할 때도 국회 의견을 존중하겠다는 말을 여러 차례 했다”며 “임명을 강행하려고 했다가 입장이 바뀐게 아니다”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는 이번 청문 정국에서 당·청 간 이견이 있는 것처럼 비친 데 대해선 “여당 지도부 내에서도 약간씩 의견이 다르긴 했지만, 민주당 대표와 원내대표를 통해 들은 당내 여론과 대통령이 생각하는 것의 간극은 거의 없었다”고 말했다.
더불어 현행 청문회 제도에 대해 “청문제도 개선이 꼭 필요하다”며 “인사청문제도가 좋은 사람을 발탁하는 과정이 돼야지, 좋은 사람을 자꾸 내치는 절차가 되어선 안된다”며 개선 필요성을 언급했다.
그러면서 “다음 정부부터 적용한다는 전제 하에서라도 청문회 개선과 관련한 열린 토론이 국회에서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