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와 기후 변화. 최근 전북도,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키워드다.
전북도가 ‘생태문명’을 강조하며 정책 방향을 추진하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으로, 산림 정책에서도 다르지 않다. 전북도는 생태 친화적인 산림자원을 기반으로 ‘숲으로 커가는 미래전북’이라는 비전을 설정하고,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생태문명 시대를 선도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산림 수요 형태와 기후변화, 2050 탄소중립이라는 글로벌 패러다임 등 세계적 흐름에 발맞추고자 ‘산소·소득·치유’라는 3개 주제로 산림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전북도가 추진하는 산림 정책을 ‘산소·소득’과 ‘치유’라는 주제에 맞춰 두 차례에 걸쳐 짚어봤다.
△자연이 숨쉬는 산림녹지, 늘 푸른 산소숲
기후변화가 국내외 이슈로 급부상하는 가운데 대부분이 그 원인을 화석연료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라고 생각하지만, 사실상 온실가스의 25~30%가 산림 황폐화에 의해 발생한다는 것이 전북도의 분석이다. 전북도는 온실가스를 제거하는 가장 친환경적인 방법인 ‘나무 심기’를 통한 고 싱싱한 숲을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실제로 나무도 나이가 들면 생장량이 줄고 탄소흡수량도 현저히 떨어진다. 도내 산림도 40년 이상 노령화돼 탄소흡수량이 해마다 줄어들고 있다. 전북도는 탄소 고정 능력이 좋고 경제적으로 가치 있는 수종을 다시 심는 수종갱신조림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매년 2000ha 이상 수확기에 이른 경제림구역 내 나무를 대체하는 사업이다. 또한, 나무의 생육단계별로 1만3000ha 이상 숲 가꾸기를 실시해 산소 발생이 왕성한 청정한 숲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도심생활권에서도 595억 원을 투자해 도시숲(19.2ha), 가로수(33.2㎞), 미세먼지 차단숲(22.4ha), 도시바람길숲 등 도시숲 면적을 1인당 20.7㎡ 이상이 되도록 조성한다는 목표다.
△숲으로 나아지는 살림살이, 보물산 소득숲
전북도 산림면적은 443,140ha로, 전라북도 면적(806,681ha)의 절반 이상(54.9%)을 차지하고 있다. 산림 면적 가운데 71%가 사유림이며 1만1000여 가구의 2만7000여 명이 임업에 종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가소득은 3800만 원 수준에 불과하다. 산지라는 특수성과 소유 규모의 영세성 및 부재 산주 증가, 투자의 장기성 등 불리한 여건으로 임가소득은 감소하고 있다.
산림 정책과 관련해 공공주도 정책뿐 아니라 민간에서의 역할도 중요한 이유다. 산림을 경영해 소득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임산업의 안정적 경영 여건 마련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전북도는 사유림 경영기반체계 구축을 위해 매년 2000ha 이상 사유림 산림경영계획 수립 시 보조금 지원과 각종 세제 감면 등을 실시하고 저리의 산림사업 종합자금을 산림조합을 통해 신속히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사유림 경영합리화와 지역별 임업 특산품목도 집중 육성한다. 300억 원을 추가로 투입해 현재 3개 단지에 추진 중인 선도산림경영단지를 2개소 추가해 총 5개소로 확대 조성할 방침이다.